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흙의 씻기 시험(No.200체 통과량) 안내

by chooniarale 2024. 9. 8.
반응형

이 글은 경기도건설본부, 『2018년 건설공사 경기도 품질시험 편람』, (2018)을 참조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흙의 씻기 시험

근거 시험규정 : KS F 2309

 

1) 시험 목적

흙속에 미립분이 얼마나 함유되어 있는지를 파악하여 성토재료로서 적합성 여부를 판정하기 위함

 

2) 시험 순서

 

3) 시험 내용

구분 내용
시험 방법 ① 시료 채취 ● 최대 입경에 따른 건조 시료 최소 채취 중량

2 mm(200 g), 4.75 mm(500 g), 19 mm(1,500 g), 25 mm(2,000 g), 37.5 mm(2,500 g)
② (110 ± 5) ℃에서 건조(항량)  
③ 씻기 전 건조 시료 질량 측정  
④ 시료를 깨끗한 물에 2시간 이상 방치  
⑤ 0.075 mm,0.425 mm체로 깨끗한 물이 나올 때까지 수세 ● 0.075 mm 체 위에 0.425 mm 체를 끼워 용기 속 시료를 저어 부은 후 깨끗한 물이 나올 때까지 수세
⑥ 체에 남은 시료가 항량이 될 때 건조 질량 측정  
시험 기준 ● 노상, 되메우기용: 0 ~ 25 %, 동상방지층: 15 % 이하, 보조기층, 입도조정기층, 뒤채움재: 2~10 %
시험 장비 ● 체(No.40, 200), 저울(감도 0.01 gf 이상), 분산 장치(교반장치, 분산용기), 분산제, 헥사메타인산나트륨 용액, 항온수조, 건조로
참고 사항 ● 0.075 mm체 통과량(%)=[(Mo - Mi) / Mo] × 100

● 입도분포의 적부 판단(균등계수 Cu, 곡률계수 Cg)

Cu>15 입도분포 매우 불균등, 
15>Cu>6 입도분포 양호,
6>Cu>0 입도분포 균등, 
3>Cg>1 입도분포 양호

● 흙의 판별 및 분류
W 입도분포 양호(Well graded), 
P 입도분포 불량(Poorly graded)

● 흙의 공학적 성질 추정(흙의 동상 파괴 가능성 입경 0.02 mm 함유량으로 하고 투수 특성은 10 % 통과 입경 D10으로 판정한다)

● 결과 이용 및 시험 장비명은 KS F 2302 인용,

● 시험 빈도 ⇒ 토취장 및 토질 변화 시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