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말뚝재하시험(정재하, 동재하) 결과를 이용한 허용지지력 결정 방법

by chooniarale 2024. 10. 1.
반응형

말뚝재하시험(정재하, 동재하) 결과를 이용한 허용지지력 결정 방법

 

1) 개요

재하시험 결과로부터 말뚝의 연직지지력을 판정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으며, 하나의 판정법으로 해석하기보다는 여러 가지 방법들로 해석하여 지반조건 및 말뚝조건에 가장 부합하는 판정법으로 상호비교하여 지지력을 판정하여야 함.

2) 정재하시험

구분 내용
① 극한지지력이 분명하게 규명되는 경우 ● 극한지지력에 의한 지지력판정

● 극한하중(하중-침하량 곡선)을 안전율 3.0으로 나눈 값
② 극한지지력이 분명하게 규명되지 않는 경우 ● 하중(P)-시간(t)-침하량(S) 거통특성에 의하여 항복하중을 구하여 판정

● 항복하중 분석에 의하여 말뚝의 허용설계지지력을 결정하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항복하중을 안전율 2.0으로 나눈 값

● 단, S-logt 분석법, dS/d(logt)-P 분석법, logP-logS 분석법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할 수 있는 값을 참고로 하여 종합적으로 판정 필요

 

 

 

2) 동재하시험

구분 내용
① Case 방법 ● 현장에서 항타와 동시에 말뚝의 예상극한지지력을 제시하므로 항타관리에 편리하나,

● 간략식에 의존하고 경험적으로 가정되어야 하므로 예상지지력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음
② CAPWAP(CAse Pile Wave Analysis Program) 방법 ● 말뚝에 변형과 충격파 전달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한 후에 말뚝이 타격관입되는 과정에서 측정되는 변형과 응력파를 말뚝항타분석기(PDA, Pile Driving Analyzer)로 측정하여 CAPWAP 프로그램으로 해석하고 그 결과로부터 말뚝 지지력 등의 자료를 얻는 방법

● Davisson으로 구한 파괴하중으로 부터는 통상적으로 안전율 2.0으로 나누고 있으며 Rut 값에 대해서는 안전율 2.5로 나누어 설계지지력을 확인

● 단, Davisson 방법이 길이가 짧은 말뚝이나 주면마찰력이 작은 상황에서 말뚝 자체의 탄성변형량이 커서 지지력을 과소하게 평가할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는 다른 판정법 결과와도 비교하여 지지력을 결정해야함

 

3) 유의사항

  • 선단지지력 확인 - CSB 300MPa 이상(낙하고 E.O.I.D. 1.5~3m, Restrike 2~4m)
  • 동재하 시험결과 분석 시 CAPWAP 분석에 의한 Rut 값, Davisson 방법의 항복하중 및 침하량 기준에 의해 지지력을 종합적으로 판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