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평판재하시험 결과 설계지지력 미달시 처리방안
다음의 방법 중 경제성, 시공성, 공사기간, 현장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정함.
① 기초저면 지반보강 (보강재 : 잡석, 잡석콘크리트, C종콘크리트 등)
② 내림기초
③ 말뚝기초로 변경
구분 | 내용 |
① 기초저면 지반보강 | 기초저면의 연약토층을 제거하고 그 부분을 보강재로 치환하는 방법임. 시공성 및 공사기간 측면에서 가장 유리하며, 치환깊이가 2m 정도까지는 경제성이 있음. |
② 내림기초 | 기초를 지지층까지 끌어내리는 방법임. 시공성 및 공사기간 측면에서 약간 불리하며 내림깊이가 2m 정도까지는 경제성이 있음. ![]() |
③ 말뚝기초 | 시공성은 양호하나 공사비, 공사기간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으며, 내림깊이나 치환 깊이가 2m 정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경제성 있음. |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결심도의 의미와 적용 기준 (0) | 2024.10.01 |
---|---|
지내력기초에서 기초간 높이 차이와 단차 대책 (0) | 2024.10.01 |
말뚝재하시험의 관리요령 (0) | 2024.10.01 |
말뚝재하시험(정재하, 동재하) 결과를 이용한 허용지지력 결정 방법 (0) | 2024.10.01 |
매입말뚝공법의 시공관리 요령 안내 (0) | 2024.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