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말뚝재하시험의 관리요령

by chooniarale 2024. 10. 1.
반응형

말뚝재하시험의 관리

 

1) 개요

말뚝기초의 정확한 지지력 평가를 위해서는 말뚝재하시험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며 시험단계별 주요관리항목은 다음과 같음.

 

2) 동재하시험 관리 메뉴얼

① 동재하시험 방법의 선정 - 초기항타(E.O.I.D), 재항타(Restrike) 방법
② 재하시험 준비과정

구 분 점 검 사 항
게이지 교정검사 ● Strain Transducer, Accelerometer에 대한 2년내 교정검사서 (Calibration Certificate)을 통해 확인
● ASTM D 4945 규정에 의해 연간 1회씩 보정시험 실시
게이지 부착상태 ● 말뚝두부와 최소거리 1.5D(D: 말뚝직경) 상태
● 게이지 1쌍씩 대칭성(180°)
● 천공직경 및 조임상태 확인
게이지
보정시험
① offset범위(OF명령) ● Strain Transducer의 offset 범위 : ±2.5
● offset 범위의 수렴성조사
② 파형(CT)명령 ● 시험말뚝에 부착된 상태에서 게이지고유의 파형을 확인
● 측정파 저장위치 및 초기 근입깊이, 관입길이 증가량의 입력여부
자료입력 ① 말뚝 및 지반조건 ● LE, AR, EM, SP, JC, FR, WS등에 관한 확인
● 적정 댐핑계수의 선택여부
② 보정계수 ● 게이지 고유의 보정계수 입력상태 확인

 

③ 재하시험 중 확인사항

구 분 점 검 사 항
Warning sign ● proportionality, BTA등 측정상태에 대한 점검
비례성 ● PDA화면상에 측정된 파의 F와 V파등의 비례성(proportionality)확인
항타응력, 편타 ● CSI, CSB, CBX, TSX, EMX값을 수시로 파악하여 과잉항타, 편타여부를 확인하고 항타조건을 조정
말뚝건전도(BTA) ● BTA, LTD등 건전도확인 및 원인제거

※Jc값은 매뉴얼에서는 0.5를 추천하고 있음. Jc 값을 0.1 ~ 0.2로 하면 RMX가 과대하게 산정되는 경향이 있음

 

④결과분석 점검사항

구 분 점 검 사 항
CASE해석(RMX) 에
의한 지지력
● 간이 지지력 산정값임을 고려
분석용 측정파의 선정 ● CAPWAP 분석을 위한 파의 선택기준 점검
Matching Quality ● Force 매칭, Velocity 매칭을 통한 매칭결과(MQ)가 3전후가 되는지를 점검
CAPWAP 분석변수 ● QSkn, UNld, CSkn, LSkn등 40가지의 계수가 허용범위에 있는지 분석

 

 

2) 정재하시험 관리 메뉴얼

구분 검토내용
시험전 ① 설계지지력 확인 및 시험하중 결정 ● 설계지지력의 200%, 225%, 300%
② 현장조건 및 지반상태 확인- 재하방식 결정 ● 실재하방식 - 가장 정확. 비용, 시간 많이 소요

● 반력말뚝방식 - 주위 말뚝을 반력으로 이용. 주위 말뚝의 마찰저항력 검토.

반력앵커방식 - 현장주위에 사하중으로 이용할 철근 등이 없거나 반력으로 이용할 말뚝이 없어도 시험가능. 앵커의 시공에 시간과 비용 과다 소요.
시험장치 셋팅 ① 부지정지 ● 재하대가 빠지지 않도록 부지정지.
②. 두부정리 ● 무수축 몰탈이나 에폭시 등으로 말뚝머리 보강 필요.
③ 재하대 설치 ● 시험하중의 110%를 견딜 수 있도록

● 파괴, 전도, 활동에 대해 안전하도록

● 시험말뚝에 편심이 걸리지 않도록

시험말뚝과 재하하중의 무게중심 일치시킴.
④ 재하장치 설치 ● 유압잭 용량 확인.

● 유압잭 피스톤 행정거리 확인.

● 정밀한 재하중 관리를 위하여 유압게이지와 로드셀 동시 사용 추천.

● 유압게이지와 로드셀은 1년에 1회 이상 검측한 것을 사용.
⑤ 측정장치 설치 ● 다이알 게이지 제원 확인(정밀도 : 1/100mm, 측정거리 : 50mm)

● 다이알 게이지도 1년에 1회 이상 검측한 것 사용.

● 다이알 게이지는 시험말뚝 본체의 양 옆에 부착

● 시험말뚝과 반력말뚝으로부터 5D 이상 띠어서 레퍼런스 빔을 설치.

※ 1,900kN 설계의 경우 반력말뚝은 8개 이상

 

3) 재하시험 유의사항

① 적절한 시험장비의 운용

  • 동재하시험기 : PAX 이상 상급기종 사용 권장 및 센서
  • PAL : 노후, SFT, CSB등 확인기능 메뉴 부족
  • 정재하시험 장비 : 반력말뚝 8개 이상, 구조계산 된 재하대, 로드셀(1년 검교정)과 유압게이지의 병행 사용

 

② 재하시험 업체 선정 철저

  • 항타업체 발주 지양
  • 동재하시험 보고서 : 관련 LH 양식 준수, Davisson 분석 및 CAPWAP 분석보고서 제출 의무화
  • CAPWAP W01 및 CWW 파일 제출 의무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