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출처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2021).「공동주택 지하구조물의 누수 예방 및 유지관리를 위한 전문 매뉴얼- Part 1. 누수 예방 실무」.
지하 부위 적용 방수공사
- 공동주택의 지하 방수는 지하에 매립되는 부위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방수공법으로 지하층 상부, 지하층 외벽, 지하층 바닥 부위로 구분된다.
- 공동주택의 경우 활용되고 있는 지하 공간은 약 90% 이상이 지하주차장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외에 기계 및 전기실, 계단실, 창고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 지하층에 적용되는 방수공사는 지하층 외면에 시공하는 외방수공법(바깥방수)과 지하 내부(안쪽)에 시공되는 내방수공법(안방수)로 구분 할 수 있다.
1) 외방수 공법(바깥방수)
- 방수층을 지하층 바깥쪽에 시공하는 방법으로 선행공법과 후행공법이 있다.
- 선행공법이란 지하 외벽 구조체(콘크리트)를 만들기 전에 연속 지중벽, 흙막이벽(토류벽), 지반 등에 먼저 방수층을 시공하고, 나중에 구조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을 말한다.
- 후행공법이란 먼저 지하 외벽 구조체(콘크리트)를 만들고, 구조체 바깥쪽에 직접 방수층을 설치하는 공법을 말한다.
- 일반적인 지하 외방수는 후행공법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선행공법이 가능한 방수 재료 및 공법이 개발·적용됨에 따라 지하 방수의 기술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지하외벽 방수층 선행공법 | 지하외벽 방수층 후행공법 |
![]() |
![]() |
2) 내방수 공법(안방수)
- 방수층을 지하층 구조체 안쪽(실내)에 시공하는 공법을 말한다. 외벽에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도심지 건축구조물의 지하방수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 현재 시멘트 액체방수, 무기질계 분말형 도포방수재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지하 구조물의 특성상 내방수 공법은 방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누수 하자 발생 시 보수 대책 수립이 어려워, 구조체 표면 앞쪽에 블록이나 벽돌, 패널 등으로 공간벽을 형성하여 보이지 않도록 처리하는 사례가 많다(구조체 누수 지속 및 성능 저하 관리 어려움).
3) 내방수 및 외방수 공법의 시공방법 비교
구 분 | 내방수(안방수) | 외방수(바깥방수) |
사용 장소 | ● 수압이 작은 지하실, 도심지 건축에서 외벽과 흙막이벽과의 여유 공간이 없는 실내측 벽/바닥면에 시공 | ● 수압이 큰 지하실, 중요한 공사나 완전한 방수 효과 요구되는 실외측 벽/바닥면에 시공 |
공사 시기 | ● 구조체 공사 후 콘크리트 바탕에 시공 | ● 구조체 공사 전에 합벽, 흙막이벽 등에 직접 시공 |
내수압성 (방수성능) | ● 수압에 약함(방수성능 미약) | ● 내수압 성능 강함(방수성능 양호) |
공사 용이성 | ● 시공이 비교적 간편 | ● 시공 정밀도 필요 |
공사비 | ● 비교적 저가 | ● 비교적 고가 |
보호층 | ● 공사시방서에 따름 | ● 보호층 설치 필요 |
방수층 바탕 | ● 바탕 청소/정리 필요 | ● 바탕 청소/정리 필요 |
공사 순서 | ● 공사시방서에 따름 | ● 공사시방서에 따름 |
최신 건축재료학, 형성출판사, 2002
4) 지하 방수공사 설계 시 유의 사항
① 방수 작업 공간 확보 유무(여유 터파기 등)
② 방수 작업 비계의 조립 위치(바닥 평활 상태, 외벽 높이 등)
③ 관통 철골 구조체, 배관 파이프 둘레의 상태
④ 이종 구조물의 연결부 및 시공조인트의 거동상태
⑤ 지하수의 수질(산, 알칼리, 염분 등), 수위, 수량, 수압의 점검
⑥ 구조체 설치 방법(Open-cut 공법, Top-down 공법, 가설 흙막이벽 공법, 거푸집 부설 공법 등) 및 형태(라멘조, PC조)
⑦ 구조물의 진동 및 거동 상태(지하철의 진동, 온도에 의한 수축 팽창, 발전 터빈 시설의 진동 등)
5) 지하 방수공사 시공 시 유의사항
① 사용 방수재 및 지수재의 품질시험(신소재의 사용에 따른 품질 시험)
② 방수 바탕의 관리(건조상태 확인, 레이턴스 제거 등의 청소 상태)
③ 사용 방수재료 별 시공 관리
④ 시트 방수공법의 조인트 접합 및 바탕 접착 품질 관리
⑤ 도막 방수공사의 두께 확보 및 바탕 접착 품질 관리
⑥ 시트 도막 복합 방수 공법의 재료별 접착 품질 관리
⑦ 견본 시공(Mock-up)을 통한 사전 품질 관리(신공법 사용, 조인트 연결부 시공 등의 사전 품질 관리)
⑧ 품질 보증 시스템의 점검(하자 발생 시의 대처방법)
⑨ 안전 및 방화 관리(용제류 사용에 따른 화재, 질식사고, 환경오염 등에 주위)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하 구조물에 영향을 주는 자연 환경 ㅣ 누수관점 (0) | 2024.10.04 |
---|---|
지하 방수층에 요구되는 성능 (1) | 2024.10.04 |
건축 구조물의 방수 부위별 적용 재료 및 공법 안내 (0) | 2024.10.04 |
거푸집 해체시기 및 콘크리트 초기강도 추정방법 (0) | 2024.10.04 |
건설공사 현장 분진 방지 대책 (0) | 2024.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