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출처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2021).「공동주택 지하구조물의 누수 예방 및 유지관리를 위한 전문 매뉴얼- Part 1. 누수 예방 실무」.
I. 방수 부위별 적용 재료 및 공법의 종류
- 방수공사를 실시 할 부위나 용도에 따라 설계 시에는 방수 시공 부위에 따라 적합한 방수층을 선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적절한 방수층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의 용도, 규모, 방수대상 부위의 환경 및 성상, 방수층의 성능 등을 검토한 후 선정하여야 한다.
구 분 | 방수 부위별 적용 방수재료 및 공법의 종류 | |
옥상층 | 노출 | ● 도막: 우레탄계 도막, 시멘트 혼입폴리머계 도막, 아크릴계 도막 등 ● 시트: 합성고분자계 시트, 노출형 개량 아스팔트 시트 등 ● 기타: 시트+도막 복합 방수공법, 금속판 등 |
비노출 | ● 도막: 우레탄계 도막, 시멘트 혼입폴리머계 도막, 아크릴계 도막 등 ● 시트: 합성고분자계 시트, 노출형 개량 아스팔트 시트, 용융적층 아스팔트시트 등 ● 기타 : 시트+도막 복합 방수공법 등 |
|
실내 | 화장실 | ● 우레탄계 도막, 시멘트 혼입폴리머계 도막, 시멘트 액체방수 등 |
주방 | ||
발코니 | ||
수영장 | ● 우레탄계 도막, 시멘트 혼입폴리머계 도막, FRP계 방수 등 | |
지하층 | 최상층 슬래브 |
● 시트+도막 복합 방수공법, 합성고분자계 시트, 고무 아스팔트 방수 등 |
외벽 | ● 시트+도막 복합 방수공법, 합성고분자계 시트, 벤토나이트 시트 등 | |
내벽 | ● 시멘트 액체 방수, 규산질계 도포방수, 에폭시 등 | |
최하층 슬래브 | ● 시트+도막 복합 방수공법, 합성고분자계 시트 등 |
II. 방수공사별 방수재료의 구분
방수재료는 구성 재료의 유형에 따라 정형재료(시트형, 패널형, 매트형 등)와 부정형 재료(액상형, 분말형 재료 등)로 구분되고, 각 재료들의 조합에 의해 다음과 같이 구별하고 있다.
방수공사 | 방수재료 | ||
멤브레인 방수 | 아스팔트 방수 | 열공법 | |
상온공법(냉공법) | |||
토치공법 | |||
시트방수 | 합성고무 | 가황고무계 / 비가황고무계 | |
합성수지 | 염화비닐수지계 / 에틸렌수지계 | ||
도막방수 | 우레탄 고무계 | ||
아크릴 고무계 | |||
고무 아스팔트 | |||
클로로프렌계 | |||
아크릴수지계 | |||
폴리머계 | |||
무기질탄성계 | |||
시멘트 모르타르 방수 | 무기질계(염화칼슘, 규소소다, 규산질분말, 지르코늄, 화합물) | ||
유기질계(지방산염, 파라핀 에멀젼, 수지 에멀젼, 고무라텍스 등) | |||
혼합물(무기질, 유기질, 무기유기질 혼합계) | |||
폴리머 시멘트 방수공사 | |||
수화응고형 도포 방수공사 | |||
침투성 도포방수 | 무기질계 | 규산염화합물계 | 규산 알칼리금속염 |
규산 알킬에스테르 | |||
무수규산미립자 | |||
규산불소화합물계(규산불소와 마그네슘) | |||
시멘트혼화계(규산질소미분말, 시멘트 등) | |||
고분자계 | 실리콘계 | 실리콘 네이트계 | |
실란계(시란모노머) | |||
실리콘계 | |||
비실리콘계 (유기질수지계) |
아크릴수지계 | ||
우레탄 화합물계 | |||
변성 폴리에스테르, 지방산계 | |||
혼합계 | 실리콘계와 비실리콘계의 혼합 | ||
그 외의 혼합계 | |||
금속판 방수 | 스테인리스 시트 방수 : 냉간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및 띠판 | ||
동판 | |||
실링 방수 | 실리콘계 / 변성 실리콘계 / 폴리설파이트계 / 아크릴우레탄계 / 폴리우레탄계 / 아크릴계 |
1) 대한건축학회 건축 텍스트북 건축재료, 기문당, 2010.03 p374~375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하 방수층에 요구되는 성능 (1) | 2024.10.04 |
---|---|
공동주택의 지하 방수 안내 (1) | 2024.10.04 |
거푸집 해체시기 및 콘크리트 초기강도 추정방법 (0) | 2024.10.04 |
건설공사 현장 분진 방지 대책 (0) | 2024.10.03 |
건설공사 소음 규제기준 및 특정건설 작업의 소음레벨 (2) | 2024.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