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 거푸집 해체시기
1)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시험할 경우 (KSC 14 20 12) (최근 변경기준에 유의)
부위 | 기초, 보, 기둥, 벽 등의 측면 | 슬래브, 보 하부, 아치내면 | ||
일반콘크리트 | 고강도콘크리트주1) | 단층구조 | 다층구조 | |
콘크리트 압축강도 (fcu) |
5MPa 이상 (내구성이 중요한 구조물 : 10Mpa 이상) |
8MPa 이상 | 설계기준압 축강도의 2/3 이상 또한, 최소 14MPa 이상 |
설계기준 압축강도 이상 (필러 동바리 구조를 이용할 경우는 구조계산에 의해 기간을 단축할 수 있음. 단, 이 경우라도 최소강도는 14MPa 이상으로 함.) |
주1) 고강도 콘크리트는 설계기준강도 40 MPa 이상 콘크리트에 적용한다
'압축강도 5MPa 이상'의 의미
콘크리트 타설후 초기에 동해를 입으면 시멘트 페이스트의 조직이 파괴되어 어떠한 양생방법으로도 강도증진이 어렵다. 콘크리트강도가 약 5MPa에 도달하면 이 같은 피해를 면할 수 있으므로 이 강도가 발현하기까지는 동결시키지 않는 것이 중요함.
2)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시험하지 않을 경우 : 기초, 보, 기둥, 벽 등의 측면
시멘트의종류 평균기온 |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 슬래그 멘트(1종) 플라이 애시 시멘트(1종)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A종) |
고로 슬래그 시멘트(2종) 플라이 애시 시멘트(2종)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B종) |
20℃ 이상 | 2일 | 4일 | 5일 |
20℃ 미만 10℃ 이상 |
3일 | 6일 | 8일 |
II. 콘크리트 초기강도 추정
1) 강도추정
구 분 | 내용 | |
목 적 | ● 구조체 콘크리트의 28일 압축강도의 예측 ● 거푸집 탈형시기 결정 ● 한중콘크리트의 양생 종료시기 결정 |
|
7일 공시체 압축강도결과에 의한 28일 공시체 압축강도의 환산공식 |
● F28 = 1.51F7 + 0.336 | OREGON주 도로위원회 |
● F28 = F7 + 8 √ F7 | 최신 콘크리트 공학(콘크리트 학회) |
|
● F28 = 1.35F7 + 2.94 | 일본 오노다, 건설부제정 건축공사시방서 |
2) 공시체 제작 및 콘크리트 압축강도시험
공시체 | 수량 | 제작 부위 | 각조별 시료채취 | 각개별 시료채취 | 양생 | 압축강도시험 결과 |
28 일 강도용 |
3개조 (9개) |
기초, 층별, 기타 타설 단위 별로 |
해당부위의 전체 부어넣기양에 따라 균등 (25,50, 75%) 배분 |
1대의 레미콘 차에 대해 배출량의 1/4, 2/4, 3/4시점 기준으로 콘크리트를 부어넣는 지점 에서 채취 |
표준 양생 |
1개조 3개의 평균값이 설계기준강도의 85%이상, 3개조 9개의 평균값은 설계기준강도의100%이상 |
7 일 강도용 |
1개조 (3개) |
전체 | 50% 시점에서 채취 |
표준 양생 |
1개조(3개) 평균값이 적정강도 이상이고, 공시체 각각은 적정 강도의 85%이상 |
|
거푸집 존치기간 판단용 |
3개조 (9개) |
현장 수중 양생 |
※ 구조체 부위별 거푸집 존치기간 판단을 위해 강도시험용 공시체는 수직부재용, 수평부재용, 예비용 등 3개조를 제작함.
※ 콘크리트 압축강도용 공시체는 Ø150×300mm를 기준으로 하되, Ø100×200mm의 공시체를 사용할 경우에는 강도보정계수 0.97을 적용함.
3) 압축강도관련 실험 데이터
28일 강도에 대한 상대강도 (관련문헌 : 최신콘크리트공학(한국콘크리트학회))
재령 | 7일 | 14일 | 28일 | 3개월 | 6개월 | 1년 | 2년 | 5년 |
강도비 | 0.67 | 0.86 | 1.00 | 1.17 | 1.23 | 1.27 | 1.31 | 1.35 |
4) 결 언
거푸집이나 동바리의 해체시기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발현여부와 직결되는 것으로 콘크리트 의 품질, 양생조건 및 외기 등 작업환경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기온-시간(재령)-강도발현 예측을 위해 현장여건에 따른 관리기준 수립노력 및 철저한 콘크리트 품질, 시공관리가 요구된다. 특히 현장에서는 한중 콘크리트의 온도관리 및 3개층 필러 관리 등을 통하여 콘크리트 초기강도와 28일 강도의 확보가 필요하다.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동주택의 지하 방수 안내 (1) | 2024.10.04 |
---|---|
건축 구조물의 방수 부위별 적용 재료 및 공법 안내 (0) | 2024.10.04 |
건설공사 현장 분진 방지 대책 (0) | 2024.10.03 |
건설공사 소음 규제기준 및 특정건설 작업의 소음레벨 (2) | 2024.10.03 |
철근가공 및 철근배근시 유의사항 (0) | 2024.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