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해체공사 작업계획서 작성 안내

by chooniarale 2024. 10. 9.
반응형
출처: 안전보건공단(2017). 「철거・해체공사 표준안전작업 절차서」

 

해체공사 작업계획서 작성

 

1) 해체공사 작업계획서 작성 시 고려사항

❍ 건설업자등, 시공자 및 철거업체는 해체공사 주변의 안전 확보, 건설폐기물의 최소화 및 적정처리 등을 위하여 다음의 사항을 포함하여 해체공사계획서를 작성한다.

  • 해체공사의 개요, 관리조직, 공정 등을 포함한 일반사항
  • 해체공사의 진행으로 영향을 받게 될 구조물(전기・상하수도 등)의 이동, 철거, 보호 등에 대한 사항
  • 해체공사 작업계획(해체작업순서, 작업안전대책, 해체공법, 화재 및 공해 방지 등)과 이에 따른 구조안전계획
  • 해체공사에 의해 발생하는 건설 부산물의 처리계획
  • 해체 후 부지정리, 인근 환경의 보수 및 보상 등과 같은 마무리 작업사항
  • 현장의 화재방지 대책, 교통안전 및 안전통로 확보, 낙하방지대책 등 안전관리 대책 등

 

❍ 시공자 및 철거업체는 해체 과정에서의 구조안전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다음의 사항을 포함하여 해체 공사계획서를 작성한다.

  • 해체공사 전 과정에 걸쳐 해체 구조물 등의 안전에 관한 사항
  • 해체작업 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인접한 지반, 구조물 등의 안전에 관한 사항
  • 해체 과정에서의 구조계 변화에 따른 안전한 작업순서 및 방법 계획

 

❍ 시공자 및 철거업체는 해체공사계획서를 작성함에 있어 해체공사와 관련한 법률 (산업안전보건법, 건축법, 건설기술관리법, 소음․진동관리법, 대기환경보전법,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등)을 준수
하여야 한다.

 

2) 해체공사 작업계획서 작성내용

❍ 작성 핵심사항

  • 해체 작업 중 붕괴, 전도, 화재․폭발 및 추락, 낙하 위험에 집중하여 계획을 작성한다.
  • 해체 작업 계획도(평면도, 단면도, 작업상황도, 부분 상세도 등)에 안전보건 규칙의 중량물 취급작업 및 차량계 건설기계, 양장비, 비계 및 작업발판류 관련 핵심 준수사항과 기타 기술적인 관리요소를 작성한다.

❍ 재해예방 계획 기재내용

구분 내용
작업개요  ・  해체 작업 부지의 상황조사 및 대상 구조물 조사를 토대로 하여 작업개요 및 안전작업 계획을 작성한다.
해체 부지의 상황 조사 ・ 해체공사 착수에 앞서 철거, 이설, 보호해야 할 장애물 현황 조사
・ 도로 상황, 가공 고압선 유무 조사
해체 대상 구조물의 조사 ・ 구조물의 건립년도 및 과거 사용목적
・ 증설, 개축, 보강 등의 구조변경 현황
・ 구조(철근콘크리트, 철골철근콘크리트조 등)의 특성, 층수, 건물높이, 연면적 등
・ 폭, 층고, 기둥․보․내력벽․비내력벽 등 부재의 배치상태
・ 해체공법의 특성에 의한 비산각도, 낙하반경 등
・ 해체물의 적치‧적재, 운반방법
・ 해체물 내에 잔재위험물 또는 가연물질(인화성물질 등)의 존재 유무



❍ 해체 작업 시 붕괴, 전도, 협착 방지계획을 작성한다.

  • 해체공법에 따른 해체순서 및 안전 작업방법
  • 해체작업에 따른 비산 및 붕괴위험 예측 및 작업반경 설정
  • 상부 해체물 적치하중 및 장비 탑재하중에 대한 구조부재의 안전성 검토,철거층 하부 잭서포트 등의 지지대 보강

 

❍ 해체 작업 시 화재․폭발 방지계획을 작성한다.

  • 용접․용단, 절단 작업전 인화성물질, 잔류가스 등 제거 계획 및 방법
  • 철근 절단 등을 위한 용접․용단, 절단 작업 시 안전작업 계획

 

❍ 해체작업 시 추락 및 낙하 방지계획 등을 작성한다.

  • 추락, 낙하 등의 방지를 위한 비계, 안전방망(수직방망, 수평방망), 낙하물 방지망 등에 대한 안전작업 및 설치계획
  • 해체작업 위험구역 내 출입금지 조치계획
  • 해체 과정에서의 고소 작업에 대한 안전작업 계획

 

3) 해체공사 작업계획서 작성목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