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섬유보강콘크리트의 시공안내

by chooniarale 2024. 10. 9.
반응형
출처: 조달청(2018).  「조달청 GUIDE –시방서 ((REV.1) 」

 

섬유보강콘크리트의 시공

 

섬유보강 콘크리트(fiber reinforced concrete) : 보강용 섬유를 혼입 하여 주로 인성, 균열 억제,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 등을 높인 콘크리트

 

1) 시공시 주의사항

구분 내용
타설 전 시공상태 확인 사항 ● 바닥철근 결속선 및 철근 변형여부 간격재 버팀대 변형여부 확인한다

● 슬라브 단차 부위 (화장실 발코니 현관) 등 처리는 설계도면 및 마감재 고려 레벨 확인한다

● 단열재 벽체 천장의 결로 보완재 등 매립 자재의 시공여부 적정위치 정밀고정 확인한다

● 슬래브 평탄성 확보를 위한 콘크리트 타설높이 기준점 표시 여부 (수평면가이드레일 설치) 확인한다

● 하부층 제물치장면 등 보양상태 확인한다

● 타공종 (기계 전기) 시공완료 여부 확인한다

● 타설인원 진동기 준비상태 확인 (예비 진동기 준비상태 확인) 한다
레미콘 반입 시 확인 사항 ● 배관 피복용 모르터는 별도의 차량으로 운반한다

● 첫차 반입시 당일 배합보고서 제출 확인한다

● 레미콘 송장 확인 (규격 출발 도착시간) 한다

● 압송 부어넣기를 일시 중단할 경우는 콘크리트의 품질변화에 주의하고 비비기부터 부어넣기까지의 시간 한도 주의한다

● 슬럼프 공기량 온도 염화물 시험 압축강도 시험을 한다
타설 타설시 철근 및 매설물의 배치나 거푸집이 변형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콘크리트 타설의 층 높이는 다짐능력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 이어치는 부분은 반드시 레이턴스 제거 등 청소 상태 확인 후 시공한다
● 벽체는 1.5M 이하로 나누어 타설하고 충전 불리한 부위 (세대 창틀주위 복도난간 발코니턱 등) 는 하부층 목망치 두드림 또는 진동기 다짐을 철저히 하고 반드시 콘크리트의 충진 여부를 확인하고 타설부위 이동한다
● 타설속도에 비하여 진동기 대수가 부족하면 시방기준대로 시공 (다짐간격 50cm이내 서서히 뽑는다) 이 어려워 하자발생 요인이 되므로 펌프카 1대당 2대의 진동기를 배치하여 타설 속도에 따라 탄력적으로 사용한다

● 다짐기 진동기 의 가동대수는 타설량 및 타설속도에 준하여 산정 및 운용하고 재료분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과도한 다짐도 지양한다
진동기 사용 요령 ● 봉형 진동기는 수직으로 사용하고 시멘트 페이스트가 떠오르고 기포가 나오지 않을 때까지 다짐한다

● 다짐간격은 50cm이하로 하고 다짐작업 1개층 두께는 60cm정도가 적합하다

● 1개층 이상으로 나누어 부어넣을 경우 하부 콘크리트와 일체화를 위해 중복깊이 0.1M이상 관입 되도록 하여 먼저 타설한 면과 새로 타설하는 면의 재료분리에 의한 시공이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 수직부재의 다짐 시 진동기를 빨리 인발할 경우 물곰보가 발생되므로 천천히 뽑아 올린다
섬유보강콘크리트 주의사항 ● 섬유는 콘크리트와의 부착성이 양호하고 인장강고 내구성 내후성 내열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 소요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단위수량 적게 한다

● 섬유의 형상 치수 및 혼입율은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휨강도 및 인성을 고려하여 정한다

● 배합의 표시방법은 섬유의 형상 치수 및 섬유 혼입율을 명시한다

● 뭉침현상(fiber ball) 이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히 비빔 한다

● 섬유를 믹서에 투입할 때는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한다



2) 품질관리를 위한 주요 검토, 확인사항

여러 동을 시공할 경우 팀을 개 또는 하도급업체를 개 업체로 분리하여 시공함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 2~3개 팀 개 업체 투입은 서로 잘하려는 경쟁심을 유발하는 장점과 리스크 관리에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펌프카 타설 안착위치 차량이동 경로 (회전반경) 타설물량 타설시간 종료시간 등 타설계획을 철저히 수립하여야 한다

  • 펌프카의 붐(Boom)의 회전반경을 고려하되 가능한 2곳에서 동시 타설하고 대형펌프카를 이용하여 레미콘 차량 2대가 동시에 펌프카에 레미콘을 부을 수 있도록 함이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지름길이다.
  • 특히 대형 보 기둥 원형슬라브 등을 타설 시 한꺼번에 한쪽으로 과하중이 걸리지 않도록 타설하고 동바리 시공은 철저히 하고 하부 동바리에는 안전사고 (붕괴) 대비 무전기를 가진 안전관리 요원이 배치되어야 한다

 

❍  방수 및 고정처리가 절실히 필요한 부위 (관통관 앵커 물막이 등) 는 타설 전 반드시 철저히 확인하여한다

거푸집 해체 이후 콘크리트면이 극히 일부 홀 형식의 미타설 구간 등이 있을 경우 그라우팅 몰탈로 충진함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일반 시멘트 몰탈로 충진 시 석재앙카, 트러스 고정긴결 철물이 빠질 위험이 많음을 결코 간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  지하 외벽으로부터 내부로 관통하는 각종 슬리브는 누수방지용 설치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여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