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철근부식 허용 기준
- 녹슨 철근의 사용은 권장할 만한 것은 아니지만 녹이 떨어질 정도가 아니면 구조물의 내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
- 철근의 중량 손실은 녹에 따른 손실을 포함하여 원중량(단면)의 6%를 초과하지 않아야 함
(철근표면의 녹이 떨어져 나올 정도인 경우 3%로 제한함을 권장) - 중량손실량은 철근의 시편을 채취로 무게 계량 가능
1) 녹발생 메커니즘 및 방지법
구분 | 화학식 |
애노드 반응 (산화 반응) | ● Fe → Fe2+ + 2e – |
캐소드 반응 (환원 반응) | ● O2 + 2H2O + 4e- → 4OH- |
전체 반응 | ● 2Fe + O2 + 2H2O → 2Fe2+ + 4OH- → 2Fe(OH)2 |
2) 관련규정
관련규정 | 내 용 |
ACI 318-14 26.6 | ● 보통 정도의 녹은 오히려 부착에 도움 |
ASTM A615 | ● 유해한 정도의 녹은 철근을 운반,가공, 조립 중 대부분 자연적으로 떨어져서 특별한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관련기준에 규정 |
건축구조기준 0505.2.4 | ● 만일 떨어져 나갈 정도의 녹이 발생시, 손부러시 정도의 처리 후 콘크리트 타설. ● 긴장재를 제외하고 철근의 녹은 KS D 3504서 요구 하고 있는 마디높이를 포함하는 철근의 최소치수와 중량에 미달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거할 필요는 없다. |
ASTM A615 | ● 녹제거시 중량(단면) 손실은 원중량의 6% 이내 ● 중량 손실량은 철근시편을 채취로 무게를 계량 ● 6%의 중량(단면) 손실은 표면의 녹이 몇 겹으로 발생한 경우가 아니면 대부분 허용 범위 내 |
한국 건설 기술 연구원 구조 연구실 金亘煥 박사 |
● 국내 기준이 없을 때 외국의 기준을 준용 ● 국내에서도 이 기준치를 넘지 않으면 사용 가능 |
한국 건설 기술 연구원 구조 연구실 崔敏壽 박사 |
● 녹슨 철근의 사용은 권장할 만한 것은 아님 ● 녹이 떨어질 정도가 아니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 |
3) 결언
현장에서 이러한 철근의 녹발생 허용기준을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심지어는 민원인이나 사이비 기자들에게 노출되어 매우 곤란한 경우(실제 개인적인 경험)가 발생한다. 이때, 이런 기준 등을 제시하면 효과적인 대응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단부나 측벽에 슬래브 철근 정착 시 최소 정착길이 기준 안내 (0) | 2024.12.25 |
---|---|
피복두께 허용오차 및 철근배치의 허용기준 안내입니다. (0) | 2024.12.25 |
콘크리트 줄눈의 종류 및 설치 기준 입니다. ㅣ 수축, 시공, 신축 줄눈 등 (2) | 2024.12.25 |
인간공학에서의 착오, 착시, 착각(운동의 시지각) 현상 설명 (2) | 2024.12.22 |
관급자재 주요내용 간단 정리 ㅣ 공사용 자재 직접구매 (2) | 2024.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