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웨버의 도미노 연쇄 이론
1) 정의
전술적 발견과 지적에 의해 실수가 발생됨
2) 이론 시사점
웨버(D.A. Weaver)는 아담스의 이론을 개선시키면서 사고의 연쇄반응 이론에 전술적 잘못의 발견(탐색)과 지적(명시)이라는 새 개념을 결합시켜 불안전한 행동이나 상태와 사고 및 재해까지도 전술적 잘못의 징후로 보았다. 사고를 일으키는 직접원인인 불안전한 행동 또는 불안전한 상태의 배후에는 정책(방침), 우선순위, 조직, 의사결정, 평가 통제 및 경영면에 있어서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것들이 있음을 시사한다.
3) 재해발생 5단계 (웨버 )
4) 웨버의 질문 유형 3가지
● What : 무엇이 불안전한상태이며 불안전한행동인가? 즉 사고의 원인은 무엇인가?
● Why : 왜 불안전한 행동 또는상태가 용납되는가?
● Whether : 감독과 경영중에서 어느 쪽이 사고방지에 대한 안전지식을 갖고 있는가?
5) 재해발생이론 정리
구분 | 내용 | |
하인리히 | 최초 도미노연쇄이론 | ● 사고는 불안전한 행동 또는 불안전한 상태에 주로 기인하며, 순차적으로 선행하는 사고 요인의 결과로 발생한다는 이론 |
버즈 | 개선된 도미노연쇄이론 | ● 5개의 손실제어요인*이 연쇄반응을 일으키면서 상해가 발생한다는 이론 |
아담스 | 사고연쇄반응이론 | ● 버즈의 이론에 작업자의 행동이나 작업 상태 속의 전술적 에러에는 관리자나 감독자에 의해서 만들어진 작전적 에러도 있다는 이론 |
웨버 | 도미노연쇄이론 | ● 기존 이론에 작전적 에러와 사고 징후의 개념을 결합한이론으로 사고와 재해는 모두 작전적 에러의 징후라는 이론 |
자베타키스 | 도미노연쇄이론 | ● 기존 이론에 에너지 및 위험한물질의 예기치 못한 이동 또는 방출이라는 직접원인에 의해 재해가 발생한다는 원리를 결합한 인과이론 |
* 손실제어요인: ①제어부족-관리결함, ②기본원인-기원, ③직접원인-징후, ④사고-접촉, ⑤상해-손해-손실
출처: 김진원(2010), “건설재해유형분석을통한안전사고저감방안에관한연구”, pp. 138 재인용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심리와 인간행동 이론 (0) | 2025.01.06 |
---|---|
아담스의 사고연쇄반응 이론 (1) | 2025.01.05 |
소극적 안전관리 vs 적극적 안전관리 (0) | 2025.01.05 |
일사조절장치 설치 안내 ㅣ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0) | 2025.01.04 |
에너지절약설계 권장사항ㅣ「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1) | 202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