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FMEA(Failure Mode Effectiveness Analysis)
1) 정의
-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의 고장을 형태별로 분석하여 그 영향을 정성적, 귀납적으로 검토하는 기법.
- 고장의 발생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손실 | 고장발생확률 |
실제의 손실 | 1.00 |
예상되는 손실 | 0.10=<1.00 |
가능한 손실 | 0<0.10 |
영향없음 | 0 |
2) FMEA 실시 절차
단계 | 내용 | |
1단계 | 대상시스템의 분석 | ● 모든 관련기기 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을 파악한다. ● FMEA 실시를 위한 기본방침을 결정한다. ● 각각의 기능블록과 신뢰성 블록을 작성한다. |
2단계 | 고장의 유형과 영향의 해석 | ● 시스템의 고장 형태,원인,빈도 등을 예측하고 설정한다. ● 각 항목의 고장 영향을 검토하여 고장에 대한 보상법이나 대응법을 착아내고 FEMA워크시트에 기입한다. ● 모든상황의 고장등급을 평가한다. |
3단계 | 위험도 해석 | ● 치명도해석과 개선책을 검토한다. |
3) FMEA 위험성 분류
구분 | 내용 |
Category I (파국) | ● 생명 또는 가옥의 상실 |
Category II (중대) | ● 작업수행의 실패 |
Category III (경미) | ● 활동의 지연 |
Category IV (무시) | ● 영향 없음 |
4) 고장의 형태
- 개로 또는 개방 고장
- 폐로 또는 폐쇄고장
- 가동고장
- 정지고장
- 운전계속 고장
- 오작동 고장
5) FMEA 기재사항
- 항목 : 요소 명칭, 도면번호 등
- 기능 : 기능의 간단한 표현
- 고장형태 : 형태별 특징 기술
- 고장 반응시기 : 발생에서 최종 고장까지의 소요시간
6) 특징
- FTA보다 서식이 간단하고 적은 노력으로 분석이 가능
- 논리성이 부족하고 각 요소간의 영향분석이 어려워 동시에 두 가지 이상의 요소가 고장 날 경우 분석이 곤란
- 요소가 물체로 한정되어있어 인적오류 분석은 곤란
- FTA vs FMEA
FTA | FMEA |
● Top Down 방식 ● 정량적, 연역적 해석 ● 논리기호 사용 ● 특정 사상에 대한 해석 ● 소프트웨어나 인간과오까지 포함한 해석 가능 |
● Bottom Up 방식 ● 정성적, 귀납적 해석 ● 표를 사용한 해석 ● 종합적 해석 ● 하드웨어 고장 해석 |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A (Event Tree Analysys) ㅣ 사건수 분석 (0) | 2025.01.26 |
---|---|
FTA (Fault tree analysis) ㅣ 결함수 분석 (1) | 2025.01.25 |
시스템 안전과 프로그램 5단계 (0) | 2025.01.25 |
동작경제의 3원칙 (Principles of motion economy) 안내 (0) | 2025.01.24 |
건설현장 안전교육 안내ㅣ 건진법과 산안법 (0) | 202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