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FMEA(Failure Mode Effectiveness Analysis) 고장형태영향분석

by chooniarale 2025. 1. 25.
반응형

FMEA(Failure Mode Effectiveness Analysis)

 

1) 정의

  •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의 고장을 형태별로 분석하여 그 영향을 정성적, 귀납적으로 검토하는 기법.
  • 고장의 발생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손실 고장발생확률
실제의 손실 1.00
예상되는 손실 0.10=<1.00
가능한 손실 0<0.10
영향없음 0

 

2) FMEA 실시 절차

FMEA 실시 절차
FMEA 실시 절차

 

단계 내용
1단계 대상시스템의 분석 ● 모든 관련기기 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을 파악한다.
● FMEA 실시를 위한 기본방침을 결정한다.
● 각각의 기능블록과 신뢰성 블록을 작성한다.
2단계 고장의 유형과 영향의 해석 ● 시스템의 고장 형태,원인,빈도 등을 예측하고 설정한다.
● 각 항목의 고장 영향을 검토하여 고장에 대한 보상법이나 대응법을 착아내고 FEMA워크시트에 기입한다.
● 모든상황의 고장등급을 평가한다.
3단계 위험도 해석 ● 치명도해석과 개선책을 검토한다.

 

3) FMEA 위험성 분류

구분 내용
Category I (파국) ● 생명 또는 가옥의 상실
Category II (중대) ● 작업수행의 실패
Category III (경미) ● 활동의 지연
Category IV (무시) ● 영향 없음

 

4) 고장의 형태

  • 개로 또는 개방 고장
  • 폐로 또는 폐쇄고장
  • 가동고장
  • 정지고장
  • 운전계속 고장
  • 오작동 고장

 

5) FMEA 기재사항

  • 항목 : 요소 명칭, 도면번호 등
  • 기능 : 기능의 간단한 표현
  • 고장형태 : 형태별 특징 기술
  • 고장 반응시기 : 발생에서 최종 고장까지의 소요시간

 

작성예
참고이미지 출처 : https://leanscape.io/the-failure-mode-effective-analysis-a-risk-management-tool-for-project-managers/

 

6) 특징

  • FTA보다 서식이 간단하고 적은 노력으로 분석이 가능
  • 논리성이 부족하고 각 요소간의 영향분석이 어려워 동시에 두 가지 이상의 요소가 고장 날 경우 분석이 곤란
  • 요소가 물체로 한정되어있어 인적오류 분석은 곤란
  • FTA vs FMEA
FTA FMEA
● Top Down 방식
● 정량적, 연역적 해석
● 논리기호 사용
● 특정 사상에 대한 해석
● 소프트웨어나 인간과오까지 포함한 해석 가능
● Bottom Up 방식
● 정성적, 귀납적 해석
● 표를 사용한 해석
● 종합적 해석
● 하드웨어 고장 해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