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결함수 분석 FTA (Fault tree analysis)
1) 정의
- 시스템 고장을 발생시키는 사상과 원인과의 인과관계를 논리기호를 활용하여 나무모양의 그림으로 작성하고 각 가지의 고장률을 계산하는 대표적인 정량적 위험성 평가기법이다.
- 1962년 Watson이 벨 연구소에서 유도탄 발사시스템 연구에 참여하면서 개발되었다.
2) 특징
- 재해발생 후 원인규명보다는 재해 예측에 적합하여 활용가치가 높음
- 재해 발생과 원인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정확도가 높다
3) FTA의 중요도 지수
구분 | 내용 |
구조중요도 | ● 시스템 구조에 따른 시스템 고장의 영향을 평가한다 |
확률중요도 | ● 기본사상의 발생확률이 증가하는 경우, 정상사상의 발생확률에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반영하는 지표 |
치명중요도 | ● 부품개선 난이도가 시스템 고장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부품 고장확률의 기여도 평가 |
4) FTA 논리기호 및 사상기호
구분 | 내용 |
생략사상 | ● 시스템 구조에 따른 시스템 고장의 영향을 평가한다 |
통사사상 | ● 기본사상의 발생확률이 증가하는 경우, 정상사상의 발생확률에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반영하는 지표 |
우선적 AND 게이트 | ● 여러 개의 입력사상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생하여야만 결과가 출력된다. |
5) FTA 순서 및 작성방법
구분 | 내용 |
제1단계 : TOP사상의 선정 | ● 시스템의 안전보건 문제점 파악 ● 사고, 재해의 모델화 ● 문제점의 중요도, 우선순위 결정 ● 해석할 TOP사상의 결정 |
제2단계 : 사상의 재해원인 규명 | ● TOP사상의 재해원인 결정 ● 중간사상의 재해원일 결정 ● 말단사상의 전개 |
제3단계 : FT도 작성 | ● 부분적 FT도 재검토 ● 중간사상의 발생조건 재검토 ● 전체 FT도 완성 |
제4단계 : 개선계획의 작성 | ● 안전성있는 개선안 검토 ● 제약의 검토와 타협 ● 개선안의 결정 ● 개선안의 실시계획 작성 |
6) 확률사상의 계산
- 논리적 구조를 확률의 형태로 바꾸고, 기본사상의 발생확률로부터 정상사상의 발생확률을 구한다.
- 고장 발생확률이나 휴먼에러 발생확률이 제시되고 수치가 기본사상으로 할당됨
- 각 기본고장의 고장확률을 곱하여 최소절단집단의 확률을 구한다 (OR게이트, AND게이트)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Fail Safe 안전설계기법 (0) | 2025.01.31 |
---|---|
ETA (Event Tree Analysys) ㅣ 사건수 분석 (0) | 2025.01.26 |
FMEA(Failure Mode Effectiveness Analysis) 고장형태영향분석 (0) | 2025.01.25 |
시스템 안전과 프로그램 5단계 (0) | 2025.01.25 |
동작경제의 3원칙 (Principles of motion economy) 안내 (0) |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