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TA (Event Tree Analysys, 사건수 분석)
1) 개념
- 의사결정나무를 작성하여 재해사고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문제가 되는 초기사상을 기준으로 파생되는 결과를 귀납적으로 분석하는 정량적 기법이다.
- 사상나무의 작성은 초기사상을 기준으로 진행하면서 기능이 정상인 경우는 위쪽, 고장인 경우는 아래쪽으로 표현해 나간다.
- DT(Decision Tree)에서 발전한 것으로 설비의 설계, 제작, 검사, 보전, 운전과정에서 안전대책의 적정여부를 검토한다.
2) ETA 특징
- 고장형태 작성에 유용
- 고장빈도 예측
- 안전개선을 위한 설계변경시 유용
- 대부분 공장에서 작성
- ET작성시 소요시간 과다
3) ETA 평가 절차
단계 | 내용 |
1단계 | ● 발생가능한 초기사건의 선정 |
2단계 | ● 안전요소의 확인 |
3단계 | ● 사건수 구성 |
4단계 | ● 사고결과의 확인 |
5단계 | ● 사고 결과 상세분석 |
6단계 | ● 사고 결과 문서화 |
3) ETA 작성 예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Fool Proof 안전설계기법 (0) | 2025.02.01 |
---|---|
Fail Safe 안전설계기법 (0) | 2025.01.31 |
FTA (Fault tree analysis) ㅣ 결함수 분석 (1) | 2025.01.25 |
FMEA(Failure Mode Effectiveness Analysis) 고장형태영향분석 (0) | 2025.01.25 |
시스템 안전과 프로그램 5단계 (0) | 2025.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