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하인리히의 산업 안전 10가지 원칙 ㅣ재해발생이론

by chooniarale 2025. 2. 4.
반응형

출처 : Cheryl Rielander (2016). Safety Incident Investigation: Juta and Company.

 

하인리히의 산업 안전 10가지 원칙

 

1) 허버트 하인리히(Herbert Heinrich)의 도미노 이론

      1930년대 미국의 산업 안전 선구자인 허버트 하인리히(Herbert Heinrich)는 직장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이유를 이해하기 위해 산업 사고 보고서를 연구했다. 연구된 약 75,000개의 보고서를 바탕으로 Heinrich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산업재해의 대부분은 근로자 자신이 야기한 불안전한 행위(75%)와 경미한 산업재해로 이어지는 불안전한 조건(10%)으로 인해 발생했다. 단지 작은 비율만이 피할 수 없는 요인과 관련이 있었다(2%)

 

2) 다섯 개의 도미노

      하인리히(Heinrich)의 도미노 이론은 그림과 같이 고정되고 논리적인 5단계 순서로 부상으로 이어지는 사고의 순서를 설명한다. 도미노 순서는 사고로 인해 부상을 초래하는 일련의 사건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사건 기반' 또는 '순차적' 사고 원인 모델로 간주될 수 있다. , 사고사건은 일정한 순서에 따라 연쇄적으로 발생하며, 5단계 중 어느 하나도 발생하지 않으면 부상으로 이어지는 사고는 발생하지 않는다.

Heinrich’s domino theory
Heinrich’s domino theory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에 설명된 필수 단계는 다음과 같다.

 

 사회적 환경

하인리히는 자신의 연구에서 사람들이 사회화와 조상을 통해 배운다고 말했다. 이 과정을 통해 그들은 완고함, 변덕스러움, 무모함과 같은 특정 성격 특성을 발달시키며, 이는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그에 따라 위험한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

 

 개인의 결함

사회적 행동과 마찬가지로, 사람들의 조상적 특성은 특정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부상과 같은 위험하거나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불안전한 상태를 만들 수 있다.

 

 불안전한 행위 또는 기계적/물리적 위험

불안전한 행동은 자신이 위험한 행동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올바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작업을 수행할 때 자신의 행동에 대해 실제로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이 저지르는 것이다예를 들어 매달린 적재물 아래에 서 있는 것은 위험한 행동이며, 장비 및 기계에서 안전 가드를 제거하여 기계적 또는 물리적 위험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은 불안전한 행위를 예방하면 사고와 부상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고

사고는 인명, 재산, 장비 및 환경에 피해, 부상, 손해를 초래하는 예측할 수 없고 계획되지 않았으며 통제할 수 없는 사건이다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에 따르면, 운송 중 화물이 떨어져 사고가 발생하고 부상, 피해 또는 재산 손실이 발생하는 등 사회적 환경이나 개인적인 잘못으로 인해 안전하지 않은 행위나 상태가 발생할 때 사고가 발생한다.

 

상해

상해는 질병, 건강에 해로운 상태 또는 상태가 좋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에 따르면 상해는 안전하지 않은 행동으로 인한 사고의 직접적인 결과이다.

 

3) 하인리히의 '산업 안전 10 원칙'

     하인리히의 연구는 '산업 안전 원칙'의 기초도 마련했다하인리히는 의사결정자들이 산업재해에 대한 특정한 측면을 인식해야 한다고 믿었고, 그래서 그는 다음과 같은 10가지 규명한 산업안전의 원칙을 제시하였다.

  ① 상해은 일련의 요인의 결과이며, 그중 하나는 사고 그 자체이다.
  ② 사고는 사람이나 직원의 불안전한 행동이나 물리적, 기계적 위험으로 인해 발생한다.
  ③ 대부분의 사고는 인간의 행동으로 인해 발생한다.  
  ④ 사고가 항상 사람의 불안전한 행동이나 불안전한 상태의 즉각적인 결과인 것은 아니다.
  ⑤ 직원의 위험한 행동의 배후 원인은 시정 조치에 대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⑥ 사고의 심각성은 주로 예상치 못한, 계획되지 않은, 우발적인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예방될 수도 있다.
  ⑦ 사고 예방 기술은 품질 및 생산기술에 통합될 수 있다.
  ⑧ 안전의 결과를 달성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경영이 책임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것이다.
  ⑨ 사고예방의 핵심인물은 대개 감독자이다.
  ⑩ 사고에는 다음과 같은 비용이 수반된다. 
        ▷ 보상, 책임 청구, 의료 비용 및 병원 비용과 같은 직접 비용
        ▷ 간접 또는 숨겨진 비용

     이상, 하인리히는 사고의 원인으로 구조, 기술, 사람이라는 세 가지 조직 구성 요소를 강조한 반면, 도미노 이론에서는 사람을 가장 강조했다. 그러나 산업 안전의 10가지 원칙을 분석하면 조직의 다양한 '사람' 요소, 직원의 불안전한 행동, 감독 및 관리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생산, 품질 기술, 물리적 또는 기계적 위험과 같은 구조적 요인은 모두 사고 원인에 영향을 미친다.

 

4) 시사점

     이 글을 접하기 전에 그냥 암기식으로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을 외우고 할 때, 왜? 하인리히는 "유전적 요인" 같은 인간차별적 용어를 썼는지 몰랐는데, 그것은 원문에서 보면 생물학적인 것이 아닌, 어떤 사회 문화적인 유산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신체적 장애 그런 것이 아니라 암묵적으로 우리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분위기 같은 것이다. 선직국일수록 사회는 안전하고 후진국일수록 치안이 불안한 사례와 만약 군대 같은 곳에서 상사가 뭔가 잘못하고 있는데도 그것을 자유롭게 말할 수 없이 따라야만 하는 분위기라면 사전에 방지할 수 있었던 일이 나중에는 큰 재해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이런 부분을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