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Bird의 업데이트된 신 도미노 이론 ㅣ 재해발생이론

by chooniarale 2025. 2. 5.
반응형
출처 : Cheryl Rielander (2016). Safety Incident Investigation: Juta and Company.

 

Frank Bird Jr의 신 도미노 이론

 

       북미 보험 회사의 엔지니어링 서비스 이사였던 Frank E Bird Jr는 하인리히의 연구를 바탕으로 산업 재해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Frank Bird Jr는 동료와 함께 1976년에 Heinrich의 도미노 이론을 업데이트했다. 그는 부상이나 손실로 이어지는 상황을 설명하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핵심 요소를 제안했다.

 

1) 통제력 부족

경영진은 사고 원인에 있어 위험한 도미노로 간주되며 부적절한 기준, 프로그램 및 후속 조치로 인해 작업장 사고의 주요 원인이다.

 

2) 기본 원인(기원)

사고의 기본 원인을 인식함으로써 경영진은 이러한 기본 원인을 관리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다.

  두 가지 기본 원인은 다음과 같다.

  개인적 요인: 지식이나 기술 부족, 동기 부족, 신체적, 심리적 요인 등이 포함된다.

  직무 관련 요인: 여기에는 부적절한 작업 및 유지 관리 표준, 부적절한 구매 표준, 부적절한 기계 및 장비 사용, 기계 및 장비의 마모 등이 포함된다.

 

3) 즉각적인 원인(증상)

사고의 즉각적인 원인을 식별함으로써 경영진은 통제 조치를 실행할 수 있다. 즉각적인 원인은 관리 불량, 기계 및 장비의 무단 사용, 안전 절차 무시 등 보다 위험한 근본적인 문제의 증상으로 식별된다.

 

4) 사고

사고는 예상치 못한, 계획되지 않은, 통제되지 않은 상황으로 정의된다불안전한 행동 또는 불안전한 조건으로 인해 발생하여 사람, 재산, 장비 및 환경에 피해, 부상 및 피해를 초래하는 사건이다. 사고예방을 위해 취할 수 있는 조치에는 강화, 수정, 보호 또는 차폐가 포함된다.

 

5) 부상, 손상 및/또는 손실

부상이나 손상의 결과는 외상성 부상이나 노출로 인한 정신적 또는 신경학적 영향과 같이 사람에게 신체적 손상을 입힐 수 있거나 화재를 포함한 재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손실이다. 이러한 손실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경영진은 효과적인 통제 조치를 구현하고 직원에게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버드의 신도미노 이론
버드의 신도미노 이론

 

 

이상, 버드의 신도미노 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기본원인과 직접원인으로서 직접원인을 제거하는 것만으로는 재해가 완벽하게 예방 되지 않으므로 기본원인을 제거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2025.02.04 - [건축기술] - 하인리히의 산업 안전 10가지 원칙 ㅣ재해발생이론

 

하인리히의 산업 안전 10가지 원칙 ㅣ재해발생이론

출처 : Cheryl Rielander (2016). Safety Incident Investigation: Juta and Company. 하인리히의 산업 안전 10가지 원칙 1) 허버트 하인리히(Herbert Heinrich)의 도미노 이론      1930년대 미국의 산업 안전 선구자인

chooniaral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