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 글은 "안전보건 실무길잡이 쇄석채취업,토사채굴채취업"(2024, 산업안전보건공단) 자료의 내용과 이미지에서 발췌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바닷모래채취업 안전관리
1) 공정 및 유해ㆍ위험 요인 개요
바닷모래채취업은 바다에서 채취 선박을 이용해 원사를 채취하여 육상으로 이송한 후 세척, 선별해 모래 등을 생산한다. 모래 채취는 선상에서 이루어지므로 바다로 추락할 위험 등이 있으며, 모래 선별작업 시 컨베이어에 협착될 위험이 있고, 출하 공정에 로더, 굴착기, 화물자동차 등 대형기계를 사용하므로 작업자 간 부딪힘 등의 위험이 크다. 모래 채취 공정은 다음과 같다.
공 정 | 공정 설명 | 주요 설비 |
바닷모래 채취 | 모래채취선에서 흡입식 샌드펌프를 이용해 채취 | 모래채취선, 모래운반선 |
접안 및 하역 |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해 입자 크기별로 선별 | 선별기, 컨베이어 |
모래 선별 |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해 입자 크기별로 선별 | 선별기, 컨베이어 |
모래 분순물 제거 및 세척 |
이송된 모래는 불순물 제거장치(Trommel)로 조개껍데기, 자갈, 기타 불순물을 제거한 후 세척조로 투입. 세척시설에서 살수, 배수 공정을 통해 염도를 낮춤 | 경사 컨베이어, 트롬멜, 수평 컨베이어, 세척시설 |
출하 | 로더, 굴착기를 이용하여 덤프트럭에 상차 및 출하 | 로더, 굴착기, 덤프트럭 |
➊ 해상 채취 : 해상 광구에 정박한 채취선에서 펌핑 장비로 수심 40~50m에 있는 모래 채취
➋ 해상 운송 : 부선 및 채취 전용선의 선단이 운송
➌ 하역 :외항 부두 접안 후 모래 하역 전용 컨베이어를 이용해 육상으로 하역
➍ 컨베이어 이송 : 부두에 하역된 모래를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불순물 제거장치를 거쳐 세척시설로 이송
➎ 불순물 제거 : 불순물 제거장치(Trommel)로 조개껍데기,자갈, 기타 불순물을 제거 한 후 세척조에 투입
➏ 세척 : 모래를 제염·세척시설에 투입해 8~9시간 동안 살수, 배수 공정을 거쳐 염도를 0.01% 이하로 낮추고 전자동 세척
• 모래 세척
건설현장에서는 10㎜ 이하의 모래와 잔골재를 사용하는데 주로 강에서 채취한 강 모래를 사용했다. 강모래는 바닷모래보다 입자가 더 작고 고우며 밝은색을 띠어서 건축 분야에서는 강모래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최근에는 환경 보호와 자원 보존 등의 이유로 강에서 골재를 채취하는 것이 제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강모래와 잔골재의 가격이 상승하고 구하기 어려워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바다에서 채취한 모래와 잔골재를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하지만 바다에서 채취한 모래와 잔골재는 염분이 포함되어 있어 이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과정이 필요 하다.
➐ 품질 검사 : 각 공정이 끝날 때마다 염도를 측정하여 품질을 관리
➑ 제품 하차 및 출하
2) 유해ㆍ위험 요인 및 예방대책
공정 | 유해 · 위험 요인 | 예방대책 |
➊ 바닷모래 채취 | • 모래채취선 설비의 구동 부분 등에 끼임, 감김 • 모래채취선에서 바다로 떨어짐 • 흡입식 샌드펌프 등의 소음으로 인한 소음성 난청 발생 • 고열, 한랭, 폭우, 강풍 등 계절적 위험에 노출 |
• 안전덮개, 비상정지장치 설치 등 안전조치 실시 • 근로자 이동통로(건널다리 등) 설치 • 안전난간 설치, 안전대 착용 등 추락방지조치 실시 • 구명장구 비치 • 귀마개 등 방음보호구 착용 스트레칭 실시, 충분한 휴식시간 부여, 휴게시설 설치 • 계절 특성에 맞는 복장 및 보호구 착용 • 악천후, 강풍 시 작업 중지 |
➋ 접안 및 하역 | • 컨베이어 구동 부분에 감김, 끼임 • 컨베이어에서 떨어지는 낙하물에 맞음 • 모래 운반선에서 바다로 떨어짐 • 굴착기에 부딪힘, 깔림 |
• 안전덮개, 비상정지장치 설치 등 안전조치 실시 • 근로자 이동통로(건널다리 등) 설치 • 덮개 또는 울 설치 등 낙하방지조치 실시 • 안전난간 설치 • 구명장구 비치 • 작업반경 내 근로자 출입금지, 작업감시자 배치 |
➌ 모래 선별 | • 컨베이어 구동 부분에 끼임 • 컨베이어에서 떨어지는 낙하물에 맞음 • 선별작업 시 소음 및 분진에 노출 |
• 안전덮개, 비상정지장치 설치 등 안전조치 실시 • 근로자 이동통로(건널다리 등) 설치 • 덮개 또는 울 설치 등 낙하방지조치 실시 • 귀마개 및 방진마스크 착용 |
➍ 모래 불순물 제거 및 세척 | • 모래세척기의 설비에 감김, 끼임 • 설비 위에서 유지·보수·점검 등 작업 시 떨어짐 • 모래세척기 소음으로 인한 난청 발생 |
• 안전덮개, 비상정지장치 설치 등 안전조치 실시 • 근로자 이동통로(건널다리 등) 설치 • 귀마개 등 방음보호구 착용 |
➎ 출하 | • 상차작업 시 로더, 굴착기 등에 부딪힘, 깔림, 끼임 • 제품을 상차하는 덤프트럭 간 충돌, 인근 보행 근로자 부딪힘, 깔림, 끼임 • 출하(상차) 작업 시 발생하는 분진에 노출 |
• 건설기계별 운행경로 지정 • 후방경고장치 및 카메라 설치 • 작업반경 내 근로자 접근금지 • 트럭 등의 작업동선 밖으로 근로자 이동통로 마련 • 방진마스크 착용 |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급인의 산재 예방조치 안내 (0) | 2025.02.14 |
---|---|
쇄석채취업 안전관리 안내 ㅣ 천공, 발파, 쇄석 (0) | 2025.02.14 |
방진마스크 안내 ㅣ 산업안전 (0) | 2025.02.12 |
분진 발생공정 작업 안전관리 안내 ㅣ 호흡기보호 프로그램 (0) | 2025.02.11 |
소음 작업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 (0)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