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분전반 안전관리

by chooniarale 2025. 2. 16.
반응형
본 글은 "안전보건 실무길잡이 쇄석채취업,토사채굴채취업"(2024, 산업안전보건공단) 자료의 내용과 이미지에서 발췌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분전반 안전관리

 

1) 분전반 관리 미흡 사례

배선용 차단기 거꾸로 설치 분전반 상부 노출 세척기에 누전차단기 미설치
충전부 노출 분전반 덮개 탈락 전원차단기 미경유

 

2) 분전반 안전관리 방법

  • 외함에 회로도 및 회로명, 사용전압 및 책임자를 지정, 표시한다.
  • 분전반 문에는 잠금장치를 하고 “취급자 외 조작 금지” 표지를 부착한다.
  • 부스바(동판)에 코팅 또는 열수축 튜브 등으로 절연처리를 하고, 아크릴판 또는 금속제보호판으로 충전부를 보호한다.
  • 전원 케이블 인입ㆍ인출 시 외함의 지정된 곳에 뚫린 구멍을 통하여 실시하고, 케이블 그랜드 등 전용부속품으로 케이블 피복이 벗겨지지 않도록 조치한다.
  • 설비 정비, 보수 시에는 잠금장치(Lockout)를 설치하고 꼬리표(Tagout)를 부착하여 타인에 의한 불시 조작을 예방한다.

 

3) 폐쇄형 외함 또는 감전 방지용 절연덮개 설치 장소

  • 전기기계ㆍ기구 : 전동기, 발전기, 변류기, 교류아크용접기, 전등, 변압기, 축전기, 배전반, 분전반, 접속기, 개폐기, 제어기 등의 외함
  • 단자부 : 배전반, 분전반, 접속기, 개폐기, 제어기 등의 단자부
  • 노출ㆍ충전부 : 도전체 또는 도체 부분 등 충전부의 노출이 불가피한 전열기의 발열체, 저항접속기의 전극 등은 제외

 

4) 분전반ㆍ배전반 등 충전부 방호조치

도어형 설치(예) 아크릴판 설치(예) 배전반 수변전 시설 방책 설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