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업주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도를 이행한 경우에는 그 부분에 대하여 이 고시에 따른 위험성평가를 실시한 것으로 본다.
1. 위험성평가 방법을 적용한 안전ㆍ보건진단(법 제47조)
2. 공정안전보고서(법 제44조). 다만, 공정안전보고서의 내용 중 공정위험성평가서가 최대 4년 범위 이내에서 정기적으로 작성된 경우에 한한다.
3.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안전보건규칙 제657조부터 제662조까지)
4. 그 밖에 법과 이 법에 따른 명령에서 정하는 위험성평가 관련 제도
근 거: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고용노동부 고시 제2023-19호, 2023.5.22.)」 제 7조(위험성평가의 방법) ④
사업주가 위험성평가와 유사한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하는 제도를 이행하는 경우 해당 제도가 적용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위험성평가를 실시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적용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은 위험성평가를 실시하여야
합니다.
* 예를 들어 일부 공정에만 안전보건진단을 받은 경우 진단을 받지 않은 나머지 공정에는 위험성평가를 실시해야 합니다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현장 위험성평가의 자주 묻는 질문(FAQ) 26선 정답 총정리; 문답식 (0) | 2024.07.18 |
---|---|
TBM을 안전 교육시간으로 쉽게 인정받기 위한 교육증빙 예시 입니다. (2) | 2024.07.18 |
건설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 6가지 정리 (0) | 2024.07.18 |
산업안전보건법상 도급인의 다양한 안전보건조치 의무, 책임 안내 (0) | 2024.07.18 |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보건관리체제 및 위험성평가 관련 안전 · 보건주체별 역할 (0) | 2024.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