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 글은 안전보건 실무길잡이 중 "안전보건 실무정보 "(2023, 고용노동부·산업안전보건공단) 자료에서 발췌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I. 줄걸이 안전관리
1) 와이어로프의 종류 및 안전율
와이어로프의 종류 | 안전율 |
권상용 와이어로프 지브의 기복용 와이어로프 횡행용 와이어로프 및 케이블 크레인의 주행용 와이어로프 |
5.0 |
지브의 지지용 와이어로프 보조 로프 및 고정용 와이어로프 |
4.0 |
케이블 크레인의 주 로프 및 레일로프 | 2.7 |
근로자가 탑승하는 운반구 지지용 로프 | 10 |
2) 와이어로프 단말부 클립 결속방법
2) 와이어로프 구성 및 측정방법
II. 줄걸이 주의사항
1) 줄걸이 방법
- 1줄걸이 - 하물이 회전할 위험이 상존하며 회전에 의해 로프 꼬임이 풀려 약하게 될 수 있으므로 원칙적으로 적용 금지
- 2줄걸이 - 긴 환봉 등의 줄걸이 작업 시활용
- 3줄걸이 - U 자나 T자형의 형상일 때 적합
- 십자(+)걸이 - 사다리꼴의 형상 등의 적합
2) 줄걸이 달기구 및 보조구의 선정
- 하물의 질량, 중심, 형상, 권상 위치, 리프팅 빔 사용 유무 등을 확인
- 하물을 보호하는 줄걸이 방법 검토
- 최적의 줄걸이 용구와 보조기구(보호대) 선정
3) 벨트슬링 사용 시 주의사항
- 사용 온도는 100°C 이하로 하고 상온을 크게 넘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조자의 사용안내서에 따라 사용하중을 줄인다.
- 물, 기름 등에 젖으면 미끄러지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 하물은 균형이 맞게 매달며, 하물을 매단 채로 오랜 시간 방치해서는 안 된다.
- 하물의 아래로 벨트슬링을 빼낼 때는 벨트슬링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벨트슬링이 비틀린 상태로 오랜 시간 가압하거나 모가 난 모양의 것으로 가압한 상태로 방치해서는 안 된다.
- 벨트슬링은 열, 햇빛, 약품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장소에 보관한다.
- 점검 결과, 폐기하기로 한 벨트슬링이나 쇠걸이를 보수하거나 사용하중을 줄여서 다시 사용해서는 안 된다.
- 그 밖의 특수한 상태에서 사용할 때는 반드시 제조사가 제공하는 사용안내서를 따른다.
4) 와이어로프 손상 상태
5) 줄걸이 폐기 기준
구분 | 폐기 기준 |
크레인 등에 사용하는 와이어로프 폐기 기준 | - 이음매가 있는 것 -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10% 이상인 것 - 지름의 감소가 공칭 지름의 7%를 초과하는 것 - 꼬이거나 심하게 변형 또는 부식된 것 - 열과 전기, 충격에 의해 손상된 것 |
달기체인 폐기 기준 | - 달기체인이 제조된 때의 길이의 5%를 초과한 것 - 링의 단면 지름이 제조된 때의 해당 링 지름의 10%를 초과하여 감소한 것 - 균열이 있거나 심하게 변형된 것 |
III. 중량물 취급 시 공통 준수사항
- 중량물 운반 및 취급 시에는 가급적 하역운반기계 또는 운반용구를 사용한다.
- 경사면에서 중량물을 취급할 때는 구름멈춤대, 쐐기 등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고정한다.
- 중량물의 구름 방향인 경사면 아래에는 근로자의 출입을 제한한다.
- 작업지휘자를 지정하고 작업 순서 및 방법을 정해 작업을 지휘하게 한다.
- 로프를 풀거나 덮개를 벗기는 작업을 할 때는 적재함의 화물이 떨어질 위험이 없음을 확인한 후에 한다.
- 2명 이상이 중량물을 취급·운반할 때는 일정한 신호 방법을 정하고 신호에 따라 작업한다.
- 중량물을 취급하는 근로자에게 안전화 등 적합한 보호구를 지급하여 착용하도록 한다.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크리트 주요 내구성능 저하 작용 요약표 입니다. (0) | 2024.08.05 |
---|---|
사진으로 보는 이동식크레인의 안전작업 (0) | 2024.08.04 |
도급인이 지배ㆍ관리하는 장소와 안전ㆍ보건조치 장소 (0) | 2024.08.04 |
화물자동차, 덤프트럭 작업 안전관리 (0) | 2024.08.04 |
경사각에 따른 이동통로 선정 기준 및 사다리 안전작업 (0) | 2024.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