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주택수선공사에서의 도배공사 종합안내

by chooniarale 2024. 8. 12.
반응형

I. 벽지의 종류

구분 종류 특성 적용부위 (예시)



일반
초배지
∙ 한지, 갱지, 모조지, 마분지 등으로 주로 온통붙임
(밀착초배)시 사용
온통바름
(밀착초배)
부직포,
운용지
∙ 한지 대용으로 주로 봉투붙임에 사용, 갓둘레만 풀칠하여 부착

∙ 부직포 시공 후 정배이음매 부분에 운용지(한지초배지)를
바름
봉투바름
보수
초배지
∙ 석고보드 이음부위 등 바탕의 굴곡차이가 있는 경우 사용 
∙ 해당부위에 폭 100㎜ 정도의 초배지를 겹쳐 바르거나 2겹의 보수초배지 바름
굴곡부위


발포벽지 종이 위에 발포 처리된 비닐을 코팅 처리한 제품 ∙ 오염에 취약하고 보수가 어려워 최근 생산 및 사용 미미 천정
실크벽지 종이 위에 비닐을 접착한 벽지 ∙ 변색, 퇴색이 적으며, 질감과 색상이 다양하고 유지관리 용이
합지벽지 두장의 종이를 특수풀로 접착 후 코팅 및 엠보싱 처리한 벽지 ∙ 가격이 저렴하고 시공이 편리

 

II. 실크벽지와 합지벽지 비교

1) 비교

구분 실크벽지 합지벽지 비고
이미지
▶ 적용기준
- (천정) 발포벽지
- (벽) 실크벽지

▶ 합지벽지는 광폭(900),
소폭(600)으로 생산

▶ 품질기준
- 2년 이내의 공인시험성적서권장
-주요생산업체
(LG, 신한, 코스모스, 서울,
개나리, DID, 제일, 대우)
소재 종이+PVC 종이+종이
초배유무 초배O, 띄움시공 초배 X
시공법
이음매 맞댐 시공 이음매 겹침 시공
가격 중 · 고가 저가
장점 ∙ 가장 많이 사용하는 벽지
∙ 내구성이 강함
∙ 오염시 물걸레 청소 가능
∙ 가격이 저렴 
∙ 초배가 필요 없음 
∙ 천연종이로 인체무해
단점 ∙ 맞댐시공으로 숙련된 전문 도배사
시공 필요
∙ PVC코팅으로 수분조절이 어려움
컬러가 쉽게 변색 
∙ 오염, 습기에 약함

 

2) 자재선정시 벽지특성 및 시공법 표기내용 확인

 

3) 도배공사 주요 부자재

  설명
이미지
품명 일반초배지 부직포 보수초배지(네바리) 밀풀
내용 온통붙임시 사용 봉투붙임에 사용 석고보드 이음부에 사용 일반적 도배 접착재
구분 설명
이미지
품명 지물용 본드 목공용 본드 바인더 실란트
내용 접착력 증대를 위하여
풀에 첨가하여 사용
접착력 증대를 위하여
풀에 첨가하여 사용
접착력 증대를 위하여
풀에 첨가하여 사용
바탕면의 보수 등에
사용

 

 

III. 도배공사 시공 

 

1) 집의 구조는?

    주택의 벽체의 자재종류 및 시공상태, 위치에 따라 도배지의 종류와 면처리, 시공방법이 상이하므로 시공 전 주택의 구조상태의 파악 필수

2) 주택의 내 · 외벽 구분

주택의 내 · 외벽 구분
주택의 내 · 외벽 구분

3) 도배공법

공법종류 특 성 비 고
온통(밀착)바름 ∙ 도배지 전면에 풀칠하여 바름  
봉투(공간)바름 ∙ 도배지 4면에 풀칠하여 바름, 중앙부는 공간 형성 실크벽지 적용

 

4) 도배공법 적용기준

구 분 적용부위 특 성 비고
초배 정배
정배 석고보드 - 온통 or 봉투 조인트 초배 2회
초배
+
정배
흙벽면, 금속면 온통 온통 바탕면에 직접도배 지양
미장면 온통 온통 or 봉투  
콘크리트면 봉투 온통 or 봉투 초배지 대신 부직포 +
한지초배지(폭20cm)
  • 흙벽 등 표면 평활도 불량하여 벽면과 도배면 공간 발생 시 온통바름 적용
    (면 평활도가 불량한 경우 석고보드, 합판 등의 하자처리 후 시공권장)
  • 벽체 마감현황에 따라 적용공법은 탄력적으로 운영

 

5) 벽체 마감바탕 재료별 시공방법

콘크리트면 미장면 보드류
(석고보드, 합판 등)
기타
(흙벽, 금속류)
∙실크벽지 : 봉투바름(초배유) 

∙합지벽지 : 온통바름
(바탕면상태에 따라 초배유,
무선택)
∙실크벽지 : 봉투바름(초배유) 

∙합지벽지 : 온통바름
(바탕면상태에 따라 초배유,
무선택)
∙실크벽지 : 온통바름(초배무) 

∙합지벽지 : 온통바름
∙금속면 및 흘벽면에는 직접
도배시공은 지양하고 바탕
처리(보드취부) 후 도배시공

 

6) 시공예시 및 유의사항 안내

콘크리트 바탕면 도배 시

[시공상 유의사항]

∙ 실내 가구는 모두 이동하여 전체면적을 도배하고 도배시공 적정환경은 실내 온도 10~15℃, 습도 12%이하(우천시 시공지양)
∙ 도배시공전 천정몰딩 설치유무 사전 확인(없을 경우 사전 시공필요)
∙ 벽지이음부위와 석고보드이음부위는 겹치지 않도록 하고 벽지 이음부위는 석고보드 초배 봉투바름면을 피해서 이음
∙ 창호 및 가구, 몰딩 접촉면 시공시 감아올리는 폭은 5㎜ 전후로 시공하도록 하고 선형유지에 유의

 

보드류(석고보드, 합판 등) 바탕면 - 기존도배지 철거 후 도배 시

 

보드류(석고보드, 합판 등) 바탕면 - 석고보드 시공 후 도배
[시공상 유의사항]

∙ 도배시공전 천정몰딩 설치유무 사전 확인(없을 경우 사전 시공필요)
∙ 기존벽지 철거 후 바탕면이 불량할 경우 퍼티시공 및 초배지(한지, 양지 등) 시공으로 바탕정리 후 본 도배공사 시행
∙ 보드 단차 및 이음부위는 퍼티, 보수초배지로 보수하여 평활도 유지

 

기타 바탕면 도배시공
[ 시공상 유의사항 ]

바탕면이 금속 및 흙벽인 경우 바탕에 직접 도배시공이 불가하므로 별도의 보드시공 후 도배시공
∙ 도배시공 전 천정몰딩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반드시 사전시공
∙ 보드시공 후 시공방법은 보드면 도배시공예시에 따라 시공
∙ 흙벽의 경우 상태가 불량한 경우 조적공사 등 추가공사 고려필요

 

IV. 도배공사 검수

  • 기존의 벽지를 깔끔하게 제거여부 확인(본 도배시공을 위해 제거상태가 중요)
  • 바탕정리(퍼티, 샌딩, 실리콘, 보수초배 등) 및 초배의 시공여부 확인
    → 기존벽지의 미제거 및 제거상태불량, 초배미시공, 운용지 미시공 등에 유의 필요
  • 창호, 가구, 몰딩 접촉면의 감아올리는 폭이 5mm내외가 되는지 여부(과다하거나 짧은 경우 점검) 및 선형유지 상태 점검
  • 가구 및 적치물 후면까지 시공여부 확인
  • 도배면의 주름, 내부 이물질 돌출, 파손(찢김), 들뜸 등 외부마감 수준 확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