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안전보건공단(2022). 안전보건 실무길잡이 건설업 조적ㆍ미장ㆍ견출 작업. 자료에서 발췌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I. 기준
• 안전보건규칙 제13조(안전난간의 구조 및 설치요건) • 안전보건규칙 제20조(출입의 금지 등) • 안전보건규칙 제32조(보호구의 지급 등) • 안전보건규칙 제35조(관리감독자의 유해ㆍ위험 방지 업무 등) • 안전보건규칙 제67조(말비계) • 안전보건규칙 제68조(이동식비계) • 안전보건규칙 제122조(연삭숫돌의 덮개 둥) • KOSHA GUIDE(C-28-2018) 이동식비계 설치 및 사용안전 기술지침
II. 조적 벽체 철거작업 유해ㆍ위험 요인
조적 벽체 무너짐에 의한 깔림 위험
콘크리트 엔진 커팅기 등 사용 시 베임 위험
말비계, 이동식비계 상부에서 작업 중 떨어짐 위험
III. 조적 벽체 철거 재해 예방대책
해체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해체 순서를 준수한다.
보호구(안전모)를 지급하여 착용토록 관리를 철저히 한다.
회전체 날 접촉 예방장치를 설치한다.
이동식비계 설치 시 안전난간을 설치하고 전도 방지조치를 철저히 한다.
조적 벽체 공사
• 정의 시멘트벽돌을 시멘트+모래+물을 혼합한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아래에서부터 위로 층층이 쌓아놓은 형태의 벽식 구조체 • 시멘트벽돌 시멘트와 모래를 혼합하여 가공한 사각 모양의 구조(190×90×57㎜) • 조적 쌓기 방식
• 단위면적당 조적 벽체 무게 산출(1.0B 쌓기, 2면 미장 기준)
구분
계산
단위
벽돌
149장×2kg/장 = 298kg
149장 : 1.0B 쌓기 단위면적(㎡) 벽돌 수량
줄눈 모르타르
149×0.00033㎥×1,950㎏/㎥ =약 96kg
0.00033㎥ : 1장당 모르타르 부피(표준 품셈 기준
미장 모르타르
1㎡×18㎜(미장 두께)×2면×1,750㎏/㎥ = 63kg
1,950㎏/㎥ : 조적용 모르타르 단위중
단위면적(㎡)당 조적 벽체의 총 무게는
298 + 96 + 63 약 459kg
1,750㎏/㎥ : 미장용 모르타르 단위중량
☞ 조적 벽체 2㎡의 경우 약 1톤에 가까운 무게가 되므로, 떨어지는 벽체에 맞거나 깔림 재해 발생 시 사망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반드시 안전 작업 방법 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