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안전보건공단(2022). 안전보건 실무길잡이 건설업 조적ㆍ미장ㆍ견출 작업. 자료에서 발췌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I. 기준
• 안전보건규칙 제20조(출입의 금지 등) • 안전보건규칙 제32조(보호구의 지급 등)
• 안전보건규칙 제87조(원동기·회전축 등의 위험 방지)
• 안전보건규칙 제89조(운전 시작 전 조치)
• 안전보건규칙 제90조(날아오는 가공물 등에 의한 위험의 방지)
• 안전보건규칙 제91조(고장난 기계의 정비 등) • 안전보건규칙 제93조(방호장치의 해체 금지)
• 안전보건규칙 제122조(연삭숫돌의 덮개 등) • 안전보건규칙 제241조(화재 위험작업 시의 준수사
II. 고속절단기 등 유해ㆍ위험 요인
- 절단작업 중 손가락, 손 또는 기타 신체 부분이 절단 숫돌에 접촉할 위험
- 방호덮개 해체 사용 중 파손되어 날아온 연삭날 파편에 맞음 위험
- 절단작업 중 소재의 반발로 튕겨진 소재로 인한 작업자 상해 위험
- 핸드그라인더 작업 중 튕겨진 그라인더에 의한 베임 위험
- 절단작업 중 날리는 불꽃에 작업자 안구 상해 위험
- 날리는 불꽃으로 인한 주변 인화성 물질 점화로 화재 발생 위험
- 분진 날림에 의한 호흡기질환 발생 위험
III. 재해 예방대책
1) 일반 안전수칙
- 고속절단기 날 접촉 방지를 위하여 방호덮개 부착 및 고정 상태를 확인한다.
- 연삭숫돌의 최고 사용 회전속도가 고속절단기의 회전속도(약 3,800rpm) 이상인지 확인한다.
- 가공물을 고정 클램프에 정확하게 고정한 뒤 작업한다.
- 작업 시에는 보안경, 마스크, 안전장갑 등 필요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한다.
- 부품 교환, 청소 작업 시 반드시 전원을 차단하고, 전기 코드를 꽂기 전에 스위치가 꺼져
있는지 확인한다.
- 연삭숫돌 교환, 카본 브러시 교환, 조정 및 청소 작업을 실시하기 전에 반드시 전원 플러그를 뽑아 감전사고 예방
- 스위치가 꺼진 상태를 확인하고 전원을 꽂으면 연삭숫돌이 갑자기 급회전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 - 적합한 작업환경을 조성한다.
- 전동공구는 비를 맞거나 습한 곳 또는 물에 젖은 장소에서 사용 금지
- 작업장 상황에 맞는 조명 유지
- 스위치를 켜거나 끌 때, 플러그를 전원 콘센트에 연결하거나 뺄 때는 불꽃이 발생하므로 폭발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음. 따라서 가연성의 액체나 가스(휘발유, 시너, LP가스등)가 있는 곳에서는 사용 금지 - 절삭 불꽃의 방향이 위험하지 않은 곳으로 향하도록 절단기를 배치하고 작업한다.
- 절삭 불꽃이 인화성 물질에 닿으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신체에 닿으면 화상위험이 있음
2) 작업 단계별 안전수칙
단계 | 내용 |
작업 전 안전수칙 |
- 플러그나 스위치를 젖은 손으로 조작 또는 취급하지 않는다. - 고속절단기에 접속되는 전원에 누전차단기를 설치하고 외함에 접지한다. - 전원 코드는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원 코드를 뽑아 놓는다. - 연삭숫돌의 파손 여부를 확인하고 손상 또는 원형 상태 불량, 흔들리는 경우 즉시 교체한다. - 연삭숫돌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올바르게 조립되었는지, 원활하게 돌아가는지 스위치를 켜기 전에 확인한다. - 금속, 비철금속 절단 등 절단물 재질에 적합한 연삭숫돌을 사용한다. - 절단기 각 부위에 장치되어 있는 나사가 느슨해져 있는지 점검한다. - 절단물은 안정된 상태로 흔들림 없이 완전하게 고정한다. - 전동공구에 충격을 주면 연삭숫돌에 금이 가거나 흠이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취급에 주의한다 |
작업 중 안전수칙 |
- 연삭숫돌을 회전시킨 채 절단물을 빼거나 장치하는 행위를 하지 않는다. - 작업 후 연삭숫돌의 회전이 완전히 멈추는 것을 확인한다. - 절단 후 바로 절단 부위를 만지지 말고 충분히 열을 식힌 다음 취급한다. - 방진마스크, 안전화, 보안경, 안전모, 귀마개 등 개인보호구를 착용한다. |
IV. 고속절단기 안전관리
1) 개요
산화알루미늄이나 탄화규소의 숫돌과 에보나이트나 플라스틱의 결합재로 만든 얇은 원판형 숫돌을 사용하여 환봉, 파이프, 각종 형강 및 석고보드 등 건축 자재를 자르는 기계를 말하며 커팅기, 절단기, 원형톱 등 다양하게 부르고 있다.
2) 절단 안전작업 방법
- 공작물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 핸들을 잡고 스위치를 켜서 연삭날을 회전시키고 핸들을 가볍게 눌러 연삭날을 공작물에 가까이 한다.
- 연삭날이 공작물에 닿으면 핸들을 서서히 눌러 절단한다.
- 절단이 끝난 곳에서 핸들을 올리면 본래의 위치로 돌아간다.
- 1회 작업이 끝났으면 스위치가 ‘꺼짐(OFF)’ 상태에서 연삭날의 회전이 완전히 멈춘 것을 확인한 후 공작물을 빼고 다음 작업 준비를 한다.
* 연삭날이 회전하는 상태에서 절단물을 빼거나 고정하면 매우 위험함
3) 스위치 조작 방법
- 스위치를 당기면 ‘켜짐’ 상태가 되고, 놓으면 ‘꺼짐’ 상태가 된다. 연속 작업을 할 때는 스위치를 당긴 후 록(lock) 버튼을 누르면 ‘잠금’ 상태가 되어 연속 운전상태가 된다.
- 연속 운전을 중단하고 싶을 때는 스위치를 한 번 당긴 다음 놓으면 작동이 중단된다
V. 휴대용 연삭기 안전관리
1) 개요
연삭기의 일종으로 지름이 약 80㎜인 연삭숫돌을 회전시키는 전동공구이다. 작업자가 휴대용 연삭기의 연삭숫돌을 공작물의 표면과 접촉하여 금속 또는 비금속 재료의 사상, 절단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연삭숫돌을 사포날, 브러시로 교체할 경우 샌딩작업, 녹 제거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조건에 따라 전동기의 회전수(rpm)를 조절할 수 있다.
2) 연삭숫돌의 회전속도
원심력(숫돌 파열의 궁극적인 원인)은 속도와 정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속도의 제곱 으로 증가한다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따라서 연삭숫돌의 회전속도가 매우 중요하다. 속도를 두 배로 늘리면 숫돌에 가해지는 응력(stress)은 네 배로 늘어나며, 그만큼 숫돌 파열의 위험이 높아진다.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력 운반작업 시 근골격계질환 예방대책 안전관리 (0) | 2024.08.11 |
---|---|
건설현장 화재 예방안전관리 (0) | 2024.08.11 |
건설현장 이동식전기기계·기구작업 안전관리(전기적 위험 예방) (0) | 2024.08.11 |
최근(24년 8월) 개정된 주거약자용 주택의 편의시설 설치기준을 정리한 사항입니다. (0) | 2024.08.11 |
주택수선 공사 중 주거약자용 위생기구 시공 기준입니다. (0) | 2024.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