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건설현장 이동식전기기계·기구작업 안전관리(전기적 위험 예방)

by chooniarale 2024. 8. 11.
반응형

이 글은 안전보건공단(2022). 안전보건 실무길잡이 건설업 조적ㆍ미장ㆍ견출 작업. 자료에서 발췌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I. 기준

• 안전보건규칙 제301조(전기기계·기구 등의 충전부 방호)
• 안전보건규칙 제302조(전기기계·기구의 접지)
• 안전보건규칙 제303조(전기기계·기구 적정 설치 등)
• 안전보건규칙 제304조(누전차단기에 의한 감전 방지)
• 안전보건규칙 제305조(과전류차단장치) • 안전보건규칙 제313조(배선 등의 절연피복 등)
• 안전보건규칙 제314조(습윤한 장소의 이동전선 등)
• 안전보건규칙 제315조(통로 바닥에서의 전선 등 사용 금지)
• 안전보건규칙 제317조(이동 및 휴대장비 등의 사용 전기작업)
• KOSHA GUIDE(E-88-2011)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E-14-2012) 감전 시 응급조치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E-5-2012) 이동식 작업등의 선정 및 사용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E-56-2013) 전기기기의 코드 접속기구에 관한 기술지침
• KOSHA GUIDE(E-77-2015) 휴대 전기기기 정비에 관한 기술지침

 

II. 유해ㆍ위험 요인

  • 전기기계·기구의 절연 파괴 및 접지 미실시로 인한 감전 위험
  • 분전함 내부의 충전부(부스바 등)에 접촉 시 감전 또는 단락 사고 위험
  • 분전함에 케이블을 인입하거나 인출할 때 정해진 경로를 통하지 않는 경우 누전 또는 단락 사고 발생 위험
  • 분전함에 회로도 및 회로명 등의 미표기에 따른 오조작에 의한 감전 사고 위험
  • 습윤 상태에서 작업 중 전선 피복 손상으로 인한 감전 위험
  • 바닥에 포설된 이동전선 피복 손상에 의한 감전 또는 단락 사고 위험

유해ㆍ위험 요인
유해ㆍ위험 요인

 

III. 재해 예방대책

  • 전동기기는 작업 목적에 적합한 것을 사용한다.
  • 작업 시작 전에 스위치, 플러그, 피복, 접지선 등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 작업장의 조명, 작업공간, 가연성 물질 존재 여부 등 작업환경 조건에 대해 점검한다.
  • 감전 방지용 누전차단기를 접속하고 동작 상태에 이상이 있는 누전차단기는 즉시 교체한다.
  • 전원 접속에는 접지극이 포함된 3극의 꽂음 접속기(콘센트, 플러그)를 사용하고 옥외에서는 반드시 방수형을 사용한다.
  • 전선은 가공포설을 원칙으로 하고, 통로에 설치할 때는 방호덮개를 설치한다.
  • 젖은 손 또는 물기가 있는 장갑 등을 끼고 전기기계·기구의 플러그를 만지거나 전기설비를 취급하지 않는다.
  • 금속제 외함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접지한다.
  • 전원 플러그가 손상되어 충전부가 노출된 경우에는 즉시 교체한다.
  • 가급적 이중 절연구조(명판의 표시 내용 확인)의 전동공구를 구매하여 사용한다.
  • 가스 또는 분진 폭발 위험 장소에서는 적합한 방폭 성능을 가진 전기기계·기구를 사용한다.
  • “고장 수리” “손대지 마시오” “위험” 등의 표지가 걸려 있는 경우 임의로 손을 대지 않는다.
  • 작업 종료 후에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하고, 사용한 이동전선을 정리·정돈한다

 

IV. 이동식 전기기기의 점검 방법

 

1) 가설전기 계통도

가설전기 계통도
가설전기 계통도

2) 임시분전함의 구성

 

3) 이동식 전기기기의 점검

구분 점검 사항
사용자 육안점검 이동식 전기기기의 사용자가 하는 점검 ➊ 케이블 및 확장 리드선 외피의 손상
➋ 플러그의 손상(케이싱에 금이 있거나 핀이 구부러진 경우 등)
➌ 케이블 및 확장 리드선 내의 접속부 상태
➍ 케이블이 플러그 또는 이동식 전기기기에 들어가는 부위의 고정 및 접촉 상태
➎ 이동식 전기기기 외부 케이싱의 손상, 부품 및 나사의 풀림 상태
➏ 이동식 전기기기의 오염 상태 
➐ 과열 여부(탄화 흔적 또는 변색)
전문가 육안점검 전기기술자가 정기적으로 수행하는 육안검사 ➊ 사용자 육안점검 사항
➋ 이동식 전기기기 내의 적정 퓨즈 사용 상태
➌ 사람이 접촉할 수 있는 도전부가 보호접지도체에 접속된 이동식 전기기기(이중절연 구조가 아닌 금속형 이동식 전기기기)인 경우 접지선의 연결 상태
➍ 이동식 전기기기 본체 및 플러그 내 손상, 과열 또는 액체나 이물질의 침투 여부
측정기기에 의한 
점검
전선 내의 접지선이 끊어지거나 절연 상태의 불량 등 육안점검으로 확인할 수 없는 이동식 전기기기의 불량 요인을 찾고자 하는 점검 ➊ 전원의 정확한 극성 
➋ 퓨즈의 적정 설치
➌ 이동식 전기기기 외함 및 케이블 등의 절연 상태
➍ 해당 이동식 전기기기가 환경에 적합한지 여부

 

V. 감전사고 발생 시 응급조치

  • 우선 전원을 차단하고 피해자를 위험지역에서 신속히 대피시켜 2차 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
  • 호흡상태, 의식상태, 맥박상태 등을 신속ㆍ정확하게 확인
  • 높은 곳에서 떨어진 경우 출혈상태, 골절 유무 등을 확인
  • 관찰 결과 의식이 없거나, 호흡 및 심장이 정지해 있거나, 출혈이 많은 경우 바로 필요한 응급처치를 실시
  • 감전쇼크로 호흡 정지 시 약 1분 이내에 혈액 중의 산소함유량이 감소하여 산소 결핍 현상이 나타나므로 최단 시간 내에 인공호흡 실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