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936

하도급 업체대상 현장 설명회 ㅣ 하도급 실무 출처: NCS학습모듈, " 하도급관리", 교육부(2016) I. 하도급 업체대상 현장 설명회 1) 현장설명서 및 작성실례 현장설명서는 공사의 내용을 자세히 기록한 문서이다. 하도급 발주 시 원도급자는 공사개요와 발주하고자 하는 공사의 범위를 현장설명서에 구체적으로 명기해야 한다. 또 공사시간을 명시할 때는 기간 연장의 인정 범위를 함께 기재하도록 한다. 그 밖의 공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특기사항을 모두 표기하고, 설계변경사항 등 특히 원도급자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사항에 대해 추가로 명기하도록 한다. 현장설명서와 현장 여건 또는 설계내용이 상이할 때는 설계 변경의 조건이 성립될 수 있다.구분내용현장설명서의 구성내용● 공사명, 공사목적, 현장위치, 공사개요, 공사범위, 지급자재, 공사기간,.. 2025. 4. 25.
하도급 입찰 참여업체의 조건제한 ㅣ 하도급 실무 출처: NCS학습모듈, " 하도급관리", 교육부(2016) I. 하도급 입찰 참여업체의 조건제한 1) 입찰 참여업체의 선정기준 원도급자는 공사규모 및 현장여건에 따라 입찰 참여업체 선정기준을 작성하여야 한다.① 정량적인 선정기준구분내용입찰ㆍ계약 실적● 전년, 당년의 입찰ㆍ계약 실적을 참조하여 당 공사금액의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시공능력평가액● 시공능력평가액이 공사금액 이상이어야 한다.신용등급● 신용등급이 원도급자가 정한 자체 기준 이상이어야 한다.입찰자격● 원도급자 자체 기준으로 입찰ㆍ안전ㆍ신용으로 인한 입찰제재 중인 업체는 제외한다.업체등급● 원도급자 자체로 업체등급을 정할 수 있으며 공사규모 및 현장여건에 따라 원도급자가 정한 협력업체 등급기준에 따라 입찰 참여업체 선정기준을 정한다. ② 정.. 2025. 4. 24.
하도급 계약에 따른 계약의 일반조건 및 특별조건 결정 ㅣ 하도급 실무 출처: NCS학습모듈, " 하도급관리", 교육부(2016) I. 하도급 계약에 따른 계약의 일반조건 및 특별조건 결정 1) 하도급 계약의 일반조건 건설공사 하도급 계약에서 계약의 당사자는 대등한 입장에서 합의에 따라 공정하게 계약을 체결하고 신의를 지켜 성실하게 계약을 이행해야 한다. 건설공사의 하도급 계약은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정거래위원회가 권장하는 건설공사표준하도급 계약서를 사용하여야 한다. 하도급 계약에 명시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하도급 계약에 명시해야 할 사항 2) 하도급 계약의 특별조건① 공사계약 특수조건 하도급의 계약문서는 계약서, 설계서, 유의서, 공사계약 일반조건, 공사계약 특수조건 및 산출내역서로 구성되며 상호보완의 효력을 가진다. 공사계약.. 2025. 4. 23.
하도급 공사비 산정 l 하도급 실무 출처: NCS학습모듈, " 하도급관리", 교육부(2016) I. 하도급 공사비 산정 개요 1) 공사비 내역서구분내용도급 내역서● 입찰 시 제출한 내역서에서 협상을 통해 다소 조정하여 계약서에 첨부하는 내역서이다. ● 우리나라는 자재비 및 노무비가 분개되고 간접비, 제반관리비 및 이익이 별도로 표기된다.● 도급 내역서는 일반적으로 계약 시 계약서에 준하는 서류가 되는데 단가, 항목, 금액, 수량 등 도급 내역서상의 모든 내용이 물가연동, 설계변경 또는 크레임의 기준이 된다.실행 내역서● 실행 내역서는 도급 내역서를 기준으로 건설회사가 실제 예산 집행을 위해 항목별로 물량, 내역을 산출한 내역서이다. ● 실행 내역서는 실제 소요되는 예산의 규모를 파악할 수 있고, 예산 집행현황을 내부적으로 통제하는 기준이 .. 2025. 4. 22.
공종별 하도급 항목 분류ㅣ 하도급 실무 출처: NCS학습모듈, " 하도급관리", 교육부(2016) 공종별 하도급 항목 분류 1) 건설산업 업종 구분구분내용건설업● 건설공사를 수행하는 업을 건설업이라 한다. ● 건설산업기본법상 등록업종 ▷ 종합공사를 시공하는 업종과 전문공사를 시공하는 업종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공사업종별 영업범위는 다음 표를 참고한다. ● 건설산업의 업종 ● 특별법에 의한 건설업 ▷ 해외건설업, 주택건설업, 환경오염방지시설업 등이 있으며 건설산업기본법에 보충적으로 적용한다 ● 기타법에 근거한 건설관련 시공업 ▷ 전기공사(전기공사업법), 정보통신공사(정보통신공사업법), 소방설비공사(소방설비공사업법), 문화재수리공사(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법률)는 건설공사에 포함되지 않는다.건설용역업● 건설공사에.. 2025. 4. 21.
유지 관리 지침서 ㅣ 철골공사 실무 출처: NCS학습모듈, " 강구조시공 준공",교육부(20??) 유지 관리 지침서 1) 유지 관리 지침서 작성 건축물의 사용에 따른 유지 관리에 필요한 지침을 명시한 문서를 말한다. 유지 관리 지침서는 설비 및 관련 기계 장치가 최적의 사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이를 관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유지 관리 지침서에는 규정의 적용 범위를 비롯하여 건축물의 관리 책임자와 기계 설비 담당자의 업무 분장을 명확히 정해놓고 기재해야 한다. 또 기기의 정기점검과 관리 등에 관한 조항을 상세히 작성하도록 한다. 유지 관리 지침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 표와 같다.유지 관리 지침서 주요 내용 유지 관리 지침서의 작성 방법은 유지 관리의 적용 범위를 정하여 목적에 맞는 작업을 시.. 2025. 4. 20.